earticle

논문검색

안동의 이미지, 농산물 공동브랜드 및 국가인증마크와의 관계 - 조선시대, 현재의 시공간과 종단적 연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among the Images, Agricultural Co-Brands and National Certification Marks in Andong - Focused on Chosun Dynasty, the Current Time Space and Longitudinal Studies -

권기대, 권기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eals with the relationship among Chosun(1 608 year), Andong's image(2019 year), co-brand and nati onal certification marks. That is, what image has Andong formed in the historical trend of 414 year? It has the back ground of the ques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attempt s a longitudinal study using literature based on Kwon Ki’ s 「Younggaji」(1608 year) and 2019 year’s the statistica l yearbook published in Andong.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Andong Daedohobu during the Chosun Dynasty and Andong, Korea today. For the content rang e, statistical data from 1608 during the Chosun Dynasty and 2019 in Andong-city are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Kwon Ki's 「Youngga ji」, In the Chosun Dynasty and today's Andong, you ca n find the image of a traditional cultural city with historic al, cultural, landscape and industrial characteristics. Seco nd, in Chosun and Andong today, agriculture is a liveliho od, but it has maintained its unique image of scholar cult ure in the region. Third, co-brands produced in Chosun and Andong fostered unique Andong food culture brands. In other words, these are the brands named Andong and between food, soju, sikhye, and salted mackerel. The impl 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necessary to obtain a GI of national certification marks and co-brand.

한국어

오늘날 긍정적 지역 브랜드의 이미지는 방문객들의 역내 유입으로 지역경제, 귀농귀촌, 지역(명) 인지도 확산 그리고 지역 농산물 공동브랜드 촉진의 마중물로 작용된다. 본 연구 는 조선시대(1608년), 오늘(2019년)의 안동 이미지, 지역 농산 물의 공동브랜드 및 국가인증마크와의 관계를 다룬다. 연구 방법은 조선(1608년) 및 안동시(2019년)를 기준연도로 종단 적 연구(Longitudinal Research)를 시도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조선시대 안동대도호부 및 오늘의 안동시로 국한한 다. 내용적 범위는 조선시대 권기(權紀)의 「영가지(永嘉 誌)」및 안동시 통계연보의 자료를 활용한다. 연구결과는 첫 째, 권기의「영가지」에 따르면, 오늘의 안동은 역사성, 문화 성, 경관성 그리고 산업성을 조선시대부터 잉태되고, 일관되 게ㆍ지속적으로 관리되어 오면서 전통문화도시로서의 이미 지를 포지셔닝하였다. 둘째, 오늘의 안동 농산물은 조선시대 와 달리 공동브랜드의 이미지로 국내ㆍ해외시장으로의 유통 됨에 따라 구매자와의 파워있는 브랜드로 높여주었다. 셋째, 농산물 공동브랜드가 불특정 다수의 소비자들로부터 브랜드 의 신뢰를 얻는 첩경은 바로 정부가 관리하고 있는 농산물의 국가인증마크(GAP, GI) 획득이다. 그러한 결과는 지역의 농 산물이 오늘날 개성있는 안동의 식문화 브랜드로 주목받는 기회로 승화하였다. 즉, 안동지명 및 음식 간의 붙여진 브랜 드―소주, 식혜, 간고등어, 찜닭, 산약, 사과, 생강, 문어, 한우, 한지 등에서 전국적 경쟁우위의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본 연 구의 제안은 향후 기초지방자치단체가 안동의 독보적 이미지 구축을 위해서라도 관계특유투자를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첫째, 지역의 이미지는 소비자들에게 어느 순간에 형성 되고 기억되는 것이 아니므로 역사성, 전통성 그리고 지역성 을 위해 투자되어야 비로소 차별성ㆍ우월성의 지역 이미지로 뿌리내릴 수 있다. 둘째, 지역에서 역사성, 전통성 그리고 지 역성의 농산물들은 ‘지리적 표시제(GI)’처럼 국가인증마크를 획득해야 브랜드자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는 동시에 소비자 로부터 브랜드 충성도로 결속될 수 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지역 이미지
2.2. 농산물 공동브랜드
2.3. 농식품 국가인증마크
3. 안동 이미지, 공동브랜드 및 국가인증마크
3.1. 안동지명
3.2. 안동의 이미지 및 농산물 공동브랜드
3.3. 농산물 공동브랜드 및 국가인증마크
4. 결론
4.1. 연구요약 및 시사점
4.2. 연구한계 및 연구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권기대 Kwon Ki Dae. 국립공주대학교, 산업유통학과
  • 권기백 Kwon Ki Baek. 대덕대학교, 반도체자동화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