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Like the innovation of civilization brought about by spices in the Middle Ages, like the coffee culture that has occupied the world since the 20th century, Metaverse is also becoming a new wave of change that will shake the world. Generation MZ is widely used mainly by the late teens to early 20s, born in the mid-1990s to early 2010s. By changing the concept of Metaverse space, it will be recognized as a new platform centering on non-face-to-face contact and dialogue. The concept of non-face-to-face contact will also change in the concept of non-face-to-face contact with ‘Metaverse’, which is emerging as a favorite child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as a new space, and furthermore, it is time to explore the establishment of a Metaverse-based Korean Wave cultural exchange platform such as Metapolis. In order to restore the homogeneity of the Korean people between the first generation of immigrants and the MZ, the discussion of avatars active on the Metaverse platform and the Metaverse Korean Wave cultural exchange platform related to virtual cultural exchanges traded in the virtual world was examined from a poetic perspective.
한국어
중세의 향신료가 가져온 문명의 혁신처럼, 20세기부터 전 세계를 장악한 커피 문화처럼, 메타버스(Metaverse)도 세상을 뒤흔들 새로운 변화의 물결이 되고 있습니다. MZ세대는 1990년대 중반에서 2010년대 초반에 태어난 10대 후반 부터 20대 초반까지 주로 사용됩니다. 메타버스 공간의 개념을 바꾸어 비대면 접촉과 대화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플랫폼으로 인식될 것입니다. 비대면 접촉의 개념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좋아하는 총아로 떠오르고 있는 ‘메타버 스’를 새로운 공간으로, 비대면 접촉의 개념으로 변화할 것이며, 나아가 메타폴 리스와 같은 메타버스 기반의 한류 문화교류 플랫폼 구축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 다. 해외 이민의 확대와 함께 민족성과 모국어를 지키려는 우리 동포들의 노력 은 끊이지 않았고, 한국어 해외방송이 그 과정에서 큰 역할을 해오고 있는 것에 더하여 시대에 맞추어 역동적인 현실적 체험감을 갖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보다 적극적으로 각 분야에 도입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 여겨지고 있다. 이민자 1세대와 MZ 사이의 한민족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해 가상세계에서 거래되는 가 상문화교류와 관련된 메타버스 플랫폼과 메타버스 한류 문화교류 플랫폼에서 활동 중인 아바타에 대한 논의를 거시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구축 및 운영전략을 수립해보았다.
목차
I. 연구 배경 및 목적
II. 활용현황 분석
1. 메타버스를 활용한 재외동포관련 기관 사례
2. 중앙정부의 초연결 신산업정책의 주요 특징
III. 메타버스 활용 방안 및 구현 전략
1. 세계적 수준의 메타버스 플랫폼구축
2. 메타버스 시대에 활약할 인재 양성
3. 메타버스 산업주도 전문기업 육성
4. 국민 공감 모범적 메타버스 세상 창출
5. 글로벌 한민족 정체성회복과 동질감확보
6. 소셜플랫폼 활용 유대감 회복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