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shoring Decision of Korean Companies Entering China with COVID-19 Pandemic
초록
영어
Due to rising costs in China and the US government’s incentives, US manufacturing companies’ move from China to the US, is becoming visible. Considering China's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capacity, efficient logistics system, and integration with Asian supply chains, the general view was that it would not be easy to leave China from the global supply chain. However, as the COVID-19 pandemic occurs in China, a global manufacturing base, there are concerns that it will be difficult for the supply chain to operate smoothly. Unlik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7, the COVID-19 crisis caused not only a demand-side shock, but also a supply-side shock to a greater extent. From the early stages of the pandemic, there has been a lot of discussion that China's production closures will lead to potential supply-side disruptions to other countries through GVC. In this study, using Porter's diamond model, we are empirically analyzing the impact on reshoring decisions of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entering China,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the COVID-19 pandemic. First, the study confirmed that market conditions, related and supporting conditions, Chinese government policies and smart factory technology application impacted on the reshoring decisions. This result confirms that high market access barriers, low interindustry-related effects, government regulations and smart reshoring act as triggers for Korean companies’ reshoring decisions. On the other hand, production and management conditions did not impact on the reshoring decisions; this may be due to the Chinese government’s efforts to improve business conditions by enforcing IPR protect law, however Korea’s already rigid employment structures are getting worse. Second, it was found that Covid-19 did not accelerate the impact of production, market, related and supporting and management conditions, government policies and smart factory technology application on reshoring decisions even under the significance level of 0.1. This seems to result from a variety of factors: stabilization of production and market conditions in China; China’s exceptional supply chains; Korean companies’ initial strategies of tailoring their management systems to fit local market and government policy, when entering the Chinese market. Lastly, this study explores implications of reshoring obstacles like Korea’s rigid labor market, labor regulations, high corporate tax, and environmental regulations.
한국어
코로나19 팬데믹이 글로벌 제조 기지인 중국에서 발생하면서 서플라이체인이 원만하게 가동되기가 어려울 거라는 우려가 계속 나 오고 있다.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달리 코로나19 위기는 수요 측면 충격뿐만 아니라, 더 큰 범위에서 공급 측면 충격을 야기했다. 팬데믹 초기 단계부터 중국의 생산 지역 폐쇄는 글로벌 밸류체인(GVC)을 통해 다른 국가로 잠재적인 공급 측면 차질로 연결될 거라는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활용, 코로나19 팬데믹이 중국에 진출한 한국 제조기업의 리쇼어링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첫째, 글로벌 서플라이체인(GSC) 관련 요인인 시장 조건, 관련 산업 조건, 정부 정책 및 스마트팩토리 기술적용은 리쇼어링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중국 내수 시장 접근 애로, 적은 산업 연관 효과, 중국 정부 규제, 공장 자동화 등이 리 쇼어링을 증진할 수 있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한편 글로벌 밸류체인(GVC) 연관 요인인 생산 조건, 경영 여건은 리쇼어링에 유의한 영 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의 고용구조의 경직성과 대비되는 중국 정부의 외국기업에 대한 지재권 보호 강화 등 경영 여 건 개선을 위한 노력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둘째, 코로나19가 독립변수인 생산, 시장, 경영, 관련 산업, 정부 정책 및 스마트팩토리 기술적용과 상호 작용을 통해 리쇼어링을 강 화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의 생산 및 시장 여건의 조기 정상화, 중국의 우수한 서플라이 체인, 경영 현지화 전략(In China, For China), 그리고 중국 정부의 정책 측면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선행연구에서 지속적으로 리쇼어링 걸림돌로 제기되고 있는 한국의 경직된 노동시장, 노동 관련 각종 규제, 고율의 법인세 및 환경 규제 등을 재확인 한 바 향후 신정부의 리쇼어링 정책 수립 시 시사점을 제공했다.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1. 리쇼어링
2. 다이아몬드 모델
3. 코로나19에 따른 기업의 전략적 변화
III. 연구 설계 및 방법론
1. 연구 모형
2. 연구 가설
IV.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2. 변수 측정
V. 실증 분석
1. 측정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
2. 가설 검증
VI.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논의
2. 시사점 및 연구한계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