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군정기(1945∼1948) 남한에서의 일본의 영향

원문정보

Japanese Influences in the U.S. Occupation of Southern Korea, 1945—1948

마크 카프리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final years of the Pacific War, the Allied leaders made several pronouncements that Japan, once defeated, would be forced to retreat from their colonial possessions. The first such announcement was made in Cairo, Egypt, when the U.S. president, Franklin Roosevelt, the British prime minister, Winston Churchill, and the Nationalist Chinese leader, Chiang Kai-shek inserted in the November 1943 communiqué that they co-drafted that “Japan will … be expelled from all … territories which she has taken by violence and greed.” These territories included the former Chinese possessions of Taiwan and Manchuria, but also the Korean Peninsula. This directive was also repeated at similar conferences held in Yalta and Potsdam. Despite these repeated promises, signs began to emerge during the war that Japan’s status of importance in Northeast Asia would be necessary even as the leader declared that Japan’s defeat would be total, and its empire completely dismantled. Even after the Allied forces had defeated the Japanese and signed papers to officially end the war, Japanese influence continued to be felt in particularly southern Korea. This was to an extent understandable: signatures and repatriations alone would not suddenly end three-plus decades of colonial rule. However, certain actions by the Japanese (particularly the military forces), but more important,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assigned to administer this territory, acted in ways that strengthened Japanese influence. Japanese kempeitai r ef used to surrender and continued to terrorize the streets of Seoul and the waters that separated Japan from Korea. U.S. officials authorized the colonial-era bureaucracy (including the police) to remain at their jobs until Koreans could be trained. They refused to revise colonial-era legislation, and sought out Japanese-trained Koreans, as well as Japanese, to fill administrative positions and provide advice for administering the peninsula. This paper addresses the post-defeat influence that Japan maintained in southern Korea, an influence that continued even beyond the formation of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and throughout the years of war on the peninsula. It identifies one cause of its continued presence— the “supreme irony” of, as Bruce Cumings notes, Korea having to endure a harsh occupation that appeared more appropriate for Japan.

한국어

태평양전쟁 말기 몇 년간, 연합군 지도자들은 일본이 항복하는 경우 식민지에서 철수한다고 하는 선언을 냈다. 최초의 것은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 처칠 영국 수상, 장개석 중국 국민정부 주석이 1943년 11월 카이로에서 공동으로 작성한 선언이었으며, 거기에서 “일본은 이제껏 무 력과 강욕(强欲)에 의해 빼앗아 온 영토에서 퇴거한다”고 적시했다. 해당 영토에는 중국 영토 였던 타이완, 만주 그리고 한반도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지령은 얄타와 포츠담에서 행해졌던 회의에서도 반복되었다. 이렇게 반복된 약속에도 불구하고 이미 전쟁 중에 일본은 동북아시아에서 중요한 지위를 점 하고자 하는 징후를 보였다. 연합국 지도자들이 일본의 항복은 전면적이고 일본제국은 완전히 무장해제 돼야 한다고 하고 있었지만. 연합국이 일본에 승리하여 전쟁을 공식적으로 종결하는 문서에 서명한 후에도 일본의 영향력은 우선 한국에 있어서 느껴지고 있었다. 분명 외교문서라 든가 영토의 반환만으로는 30여 년의 식민지지배가 신속히 종식되는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그러나 일본인(특히 군대)에 의한 행동 그리고 보다 더 중요했던 것은 이 영토를 통치하게 되었던 미국 정부가 일본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행동을 취했었다는 것이다. 일본 헌병대는 항복 을 거부해 서울 시가지와 한일간의 해역(海域)을 계속 점거했다. 미국 고관들은 한국인들이 훈 련될 때까지 식민지 법률을 개정하려 들지 않고, 일본식으로 훈련된 한국인과 일본인을 찾아내 그 역할을 메워 한반도를 통치하기 위한 조언을 했다. 본고는 일본이 항복 이후, 한반도 남북분단 후 한국전쟁에 이르기까지도 한국에서 일본이 지속적으로 보유했던 영향력에 대해 논한다. 브루스 커밍스가 ‘최고의 아이러니’라고 했던 것 처럼, 원래라면 일본이 마땅히 당했어야 했을 가혹한 점령을 외려 한국이 감당하지 않으면 안 되었던 일본의 영향력 지속의 한 이유를 밝힌다.

일본어

太平洋戦争終結期の数年、連合軍の指導者たちは宣言を発して、日本が降伏した場合、植民 地から撤退せしめられるとしていた。最初のものは、エジプトのカイロで、フランクリン⋅ルーズベルト 米大統領、ウィンストン⋅チャーチル英首相、蒋介石中国国民政府主席が1943年11月に共同で作 成した宣言であり、そこでは 「日本は、これまで武力と強欲によって奪ってきた領土から退去せしめ られる」と述べられている。該当する領土には中国の領土であった台湾、満洲、そして朝鮮半島が 含まれていた。この指令は、ヤルタとポツダムで行われた同様の会議でも繰り返された。 このように繰り返された約束にもかかわらず、すでに戦時中において、北東アジアにおいて日本 が重要な地位を占めるべきであるとする兆候が見られた。連合国指導者たちが日本の降伏は全面的 であり、日本帝国は完全に武装解除される、とされてもであった。連合国が日本に勝利し、戦争を 公式に終結する文書に署名したのちも、日本の影響力はとりわけ韓国において感じられていた。たし かに、外交文書や領土の返還だけでは、三十余年の植民地支配は速やかには終わるものではない のかもしれない。 しかし、日本人(とくに軍隊)による行動や、またより重要だったのは、この領土を統治することに なった米国政府が日本の影響力を強化するような行動をとったことであった。日本の憲兵隊は降伏を 拒んでソウルの街や日韓間の水域を占拠し続けた。米国の高官は韓国人が訓練されるまで植民地 時代の行政(警官を含む)がその職にとどまるように指示した。米国高官は植民地時代の法律を改定 しようとせず、日本式に訓練された韓国人および日本人を探し出して役職を埋め、朝鮮半島を統治 するための助言を行なわせた。 本稿は日本が降伏後、朝鮮半島の南北分断後、朝鮮戦争に至っても、韓国において保持し続 けた影響力について論述し、ブルースㆍカミングスが 「極めつきの皮肉」という、本来ならば日本に こそふさわしいと思われるきびしい占領に韓国が耐えざるをえなかった日本による影響力持続の理由 の一つを明らかにする。

목차

1. 들어가며
2. 미군정청에 관한 연구사
3. 전시 망명 한국인에 대한 근심
4. 한국 해방의 일본 개입
5. 전후 식민지 관리(官吏)의 유임
6. 해방 후 남한에 잔재한 식민지배의 요소
7. 결론: 일본의 영향과 한국전쟁
reference
abstract
abstract
abstract

저자정보

  • 마크 카프리오 Mark E. Caprio. 일본 릿쿄(立敎)대학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