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万葉集』선집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성과와 과제 -

원문정보

A Critical Study on the Anthology of 『Manyoushuu』 Achievements and Assignments

『만엽집』선집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성과와 과제 -

박상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anthology of 『Manyoushuu』published after 1945 is considered. These anthologies are generally recognized for their achievements in that they introduced works that contain Japanese specificity as well as universal sentiments of mankind to Korea. However, these anthologies are disappointing in that they are not collections of works that actively reflect the perspectives of Koreans. In this paper, from the standpoint of critically inheriting and developing the achievements of previous studies, we propose a new anthology of 『Manyoushuu』, which intensively introduces works closely related to ancient Korea. However, the existing anthologies and the new anthologies are not mutually exclusive. Rather, they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Therefore, I think the reader will be able to appreciate the representative works of 『Manyoushuup』 more broadly through two anthologies with different personalities.

한국어

본고에서는 광복 이후에 출간된 『만엽집』 선집인 오영진의 『와카 선집』, 박상현의 『일본 인의 사랑의 문화사』와 『해석의 정치학』, 고용환・강용자의 『만엽집』을 살펴봤다. 이들 선집 은 대체적으로 『만엽집』에 나오는 인류 보편적인 정서와 함께 일본적인 특수성이 담겨 있는 노래를 국내에 소개했다는 점에서 그 성과가 인정된다. 하지만 이들 선집은 한국(인)의 관점 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노래를 모은 선집은 아니라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었다. 본고는 선학의 업적을 비판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는 입장에서 고대한국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노래를 집중적 으로 소개할 새로운 『만엽집』 선집을 제언했다. 그렇다고 기존 선집과 새로운 선집이 서로 배타적인 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따라서 독자는 성격이 다른 두 가지 『만엽집』 선집을 통해 좀 더 폭넓게 『만엽집』의 대표적인 노래를 감상할 수 있 게 된다고 생각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기존 선집의 선정 기준과 수록 작품
3. 새로운 선집의 선정 기준과 수록 작품
4.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박상현 Park sanghyun. 경희사이버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