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구벽」 시리즈(『九墙』系列)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원문정보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Nine Wall series」

「구벽」 시리즈(『구장』계례)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지용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process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we are living in an urban landscape that is uniform and homogeneous in the logic of capital. China is also accompanied by the issue of hollowing out urban and rural areas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globalization, which experiences unprecedentedly rapid growth for more than 40 years of reform and opening. To overcome this, the Chinese government, companies, and academia are also showing political, industrial, and academic movements. Among them, I paid attention to the attempt to overcome the hollowing out of urban and rural areas, that is, to overcome the placelessness, through 'Site-specific art'. In particular, Yang Qi Rui, a Chinese sculptor, shows his special attachment to the soil symbolizing traditional and ecological life, as well as reflection and concern for commercialized spaces and urban landscapes created consistently during the growth of the Chinese Wind. This paper aims to examine Chinese Site-specific art, focusing on his works in the 「Nine Wall series」(󰡔九墙󰡕系列). To this end, Maurice Merleau-Ponty's body phenomenology theory is summoned to the framework of analysis to derive the mechanism of how his works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viewers in specific places, and to re-recognie specific places and environments through physical and perceptual experiences.

한국어

우리는 급속 산업화, 도시화 과정에서 자본의 논리에 획일화되고 동질화된 도시경관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중국은 개혁개방 40여 년간 전례 없는 급속성장으로 산업화, 도시화, 글로벌화를 일궈내는 과정에서 도심과 농촌의 공동화 문제도 수반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중국 정부, 기업, 학계 등의 정책적, 산업적, 학문적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그중 필자는 ‘장소 특정적 미술’을 통해 공동화를 극복, 즉 장소 상실(Placelessness) 극복을 위한 시도에 대해 주목하게 되었다. 특히 중국 조각가인 양치루이(杨奇瑞)는 그의 작품을 통해 일관성 있게 중국 폭풍 성장 과정에서 만들어진 상품화된 공간과 도시경관에 대한 성찰과 우려, 그리고 전통과 생태적 삶을 상징하는 흙에 대한 각별한 애착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는 그의 「구벽」 시리즈(󰡔九墙󰡕系列) 작품을 중심으로 중국의 장소 특정적 미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모리스 메를로-퐁티 신체 현상학 이론을 분석의 틀로 소환하여 그의 작품이 어떻게 특정한 장소에서 관람자와 소통, 상호작용하고 관람자와 관람자들 간에 어떻게 신체, 지각적 체험을 통해 상호관계 속에서 특정 장소 및 환경에 대한 재인식이 이뤄지고 의미 있는 장소(성)가 형성되는지 그 기제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연구 배경
2. 이론 배경
3. 양치루이(杨奇瑞) 장소 특정적 미술의 신체 현상학적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지용일 Chi, Long Ri. 동서울대학교 연기예술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