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국악의 초학제적 연구>

정악(正樂)의 음악적 어법과 시김새 : 인공지능 국악의 가능성을 생각하며

원문정보

Musical Diction and Sigimsae in Jeongak(正樂) :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Gugak

박소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what considered the musical diction and Sigimsae(playing techniques of expressions) in Jeongak(正樂) among various music genres in Gugak for the research result of the Transdisciplinary Research Group for KIAS(高等科學 院, Korea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However, rather than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 wide range of Jeongak, it examined the sheet music and diction (語法) in Jeongak as the rule of the game by having the musical piece as one case and made a discussion by comparing Sigimsae in Jeongak to the game item. As a result, the diction in Jeongak, which is an ensemble piece is a combination of scales according to musical tone and mode but differently pronounces consonant interval, dissonant interval, and nonharmonic tone among compositional instruments, thereby composing a harmonious melody outside the common sense of Western music. Accordingly, the use of diction in Jeongak was seen to be available for embodying even with a musical instrument, not with a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

한국어

본 연구는 고등과학원 초학제 연구단의 인공지능 국악에 관한 연구 성과를 위해 국악의 다양한 장르 중 정악(正樂)의 음악적 어법과 시김새를 중심으로 음악적 공식을 고찰한 것이다. 정악의 넓은 범위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악곡 <수제천(壽齊天)>을 하나의 사례로 하여 정악의 악보와 어법(語法)을 가상공간(cyberspace or metaverse)에서 구현되는 게임의 법칙으로서 검토하 며, 정악의 시김새를 게임 아이템(game item)에 비유하여 논의하였다. 그 결과 합주곡인 정악의 어법은 선법에 따른 음계의 조합이지만, 구성 악기들 사이에서 협화음정, 불협화음정, 비화성음 등을 제각기 발음하여 서양음악의 상식과 다른 조화로운 선율을 조직한다. 따라서 정악의 어법을 이용하여 국악기가 아닌 악기로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앞으로 국악의 고저장단(高低長 短)과 음색의 분석 등이 활발히 연구 발표되고 토론되어야 할 것이며, 나아가 스마트 국악 혹은 인공지능 국악의 상용화를 기대하며 본 연구의 의의를 구하려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정악: 풍류방과 게임방[게임기]
3. 악보와 어법: 게임의 법칙
4. 시김새: 게임 아이템(item)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소현 Park, So-Hyun. 영남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