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명말청초 고증학의 경세치용과 18세기 조선 실학의 형성 - 기호남인 성호학파와 노론 북학파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Documental Archaeology as the Practical Schools of Confucianism in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and the Formation of Joseon Silhak in the 18th Century - With The Seongho-school of Kiho-Namin and the Bukhak-school of Noron

박용태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99집 2022.06 pp.119-148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Documental Archaeology in Qing Dynasty is a classical school that advocated the methodology of Beopgo Changsin meaning create the new while do not contradict the spirit of the classics and Ongo Jishin meaning review the old and learn the new through the restoration of classics and scriptures. However, Joseon’s Confucian scholars, who accepted Documental archaeology in the 18th century, raised questions about whether the scripture of archaeology, which focuses on narrow interpretation of words and literary discipline, would be academically practical, and feared that Documental Archaeology would drown in intellectual play. Nevertheless, Confucian scholars in the middle and late Joseon Dynasty did not maintain a critical view of Documental Archaeology as a whole. In the period of the replacement of Myeong-Qing Dynasty, Joseon’s Confucian indicates there stance often showing a very positive and friendly position on Goh Yeom-mu, Hwang Jong-hee, and Wang Bu-ji, the three major old men of early Documental Archaeology. Their characteristic is that they were scholars who advocated the practical theory of economic affairs as the Practical Schools of Confucianism. Unlike Neo-Confucianism of Song Dynasty, which fundamentally assumed between public and private matters as a confrontational concept, a Documental Archaeology as the Practical Schools of Confucianism in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focuses on the unified relationship between public and private affairs. Therefore,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affairs is something that cannot be avoided in the history of Silhak in Joseon. The careful acceptance of boundary blurring is believed to be raised from the Seongho School of the Kiho Namin. Moreover this is not the Bukhak School of Noron affiliation’s the approval about the modern capitalist desire structure for greed and greed. It is the acceptance of private gains in the public area for the public advantage of the national community. In addition,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Confucianism theory of the public acceptance of goods and desires, and is also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School of promotion of public welfare. In addition, Hwang Jong-hee’s theory of social reform had a huge social and ideological impact on Joseon scholars such as Jeong Yak-yong and Choi Han-ki, and provided the foundation of civil rights in Silhak's thought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conclusion, it is clear that the reformation ideology as Practical Schools of Confucianism of the early Documental Archaeology the enlightenment school in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was the basis of the idea of social transformation in the Joseon Silhak ideology.

한국어

청대 고증학은 고전과 경전의 복원(復原)을 통한 법고창신(法古創新) 온고지신(溫故知 新)의 방법론을 주창한 고전주의 학파이다. 하지만 18세기 고증학을 수용하였던 조선의 유학계는 협소한 자구(字句) 해석과 문자학적 훈고(訓誥)에 집중하는 고증학의 경전고변 이 학문적 실용성이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또 하나의 지적유희에 젖어들어 훈고 적학 공리공론으로 고증학이 빠져들 것이라는 우려를 떨쳐내지 못하였다. 하지만 조선 중, 후기 유학자들이 고증학 전반에 대하여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했던 것 은 아니다. 명청 교체기 초기 고증학의 명대 3대 유로(遺老)인 고염무, 황종희 왕부지 등 에 대해서 조선의 유학계에서는 매우 긍정적이고 우호적인 입장을 모여주는 것들이 자주 나타난다. 이들의 특징은 경세치용의 실용적 경세론을 주창하는 학자들이었다는 것이다. 명말청초 경세치용의 고증학은 근본적으로 공사 사를 대립적 개념으로 상정했던 송대 성리학과 달리, 공 사의 통일적 관계에 주목한다. 이와 같은 공과 사의 경계 허물기는 조 선 실학사상에서는 결코 피해 갈 수 없는 것이었다. 이에 대한 조심스러운 수용은 기호 남 인계 성호학파에서부터 제기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것은 노론계 북학파에서는 사욕과 탐욕을 위한 근대 자본주의 욕망구조의 승인 이 아닌 국가공동체의 공익을 위한, 즉 공적 영역에서의 사리(私利)의 수용으로 나타난다. 또한 재화와 욕망의 공적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유교주의적 경세론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이용후생학파의 이론적 토대가 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황종희의 사회개혁론은 정약용과 최한기 등 당시 조선실학자들에게 막대한 사회사상적 영향을 주었으며 조선 후기 실학사상의 민권 민본주의의 근간을 제공한 것이 다 이렇게 명말청초 초기 계몽파 고증학의 . 경세치용적 개혁사상은 조선 실학사상의 사회 변혁 사상의 근간이 되었음은 분명하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건가 고증학에 대한 영ㆍ정조 시대 조선 지식인들의 평가
3. 명말청초(明末靑初) 계몽기 고증학과 조선후기 실학
4. 황종희의 사회개혁론과 정약용의 실학사상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용태 Park, Yong-Tae.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