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춤의 진화와 변용, 비보이댄스에서 한국춤으로의 재현

원문정보

Study on the Evolution and Transformation of Dance, Reproduction from B-boy Dance to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고경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for Korean dance to communicate and converge with the B-boy dance of modern young peopl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Korean dance and B-boying dance have similar origins and intrinsic emotions. In terms of appearance, both dances are circular oriented with curved movements, and the freeze and power move of B-boying’s basic movement are similar with the Korean dance movement. The basic movement of the lower body, like Gomurae Jeong in Korean dance, moves diagonally, and so does Taprak. The immersion of dance is also a very important factor, so both the slow movement of Korean dance and the fast movement of B-boying give dancers and audiences a sense of immersion through concentration. In particular, both dances are highly improvised. This is because both dance genre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started from percussion. As such, the gap between the two genres was found to be narrower than expected through research,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be an opportunity to coexist through convergence and collaboration. Korean dance in the 21st century lost popularity by emphasizing the elitism of art. On the other hand, B-boy dance is now trying to be recognized for its artistry beyond popularity. Therefore, I hope that Korean dance will also serve as a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dance studies through more active exchanges with modern dance to secure popularity beyond artistry.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춤이 비보잉을 통해 소통하고 융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 결과 한국춤과 비보잉 춤의 근간에 내재된 정서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외현적 측면에서 두 춤 모두 곡선적인 움직임으로 원형 지향적이며, 비보잉 기본동작의 프리즈와 파워 무브는 한국춤 동작과 유사하다. 하체의 기본동작은 한국춤의 고무래 정(丁)과 같이 탑락도 사선으로 움직인다. 내현적 측면에서는 한과 흥, 공동체 의식, 그리고 춤의 몰입성도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한국춤의 느린 회전동작과 비보잉의 빠른 회전 동작은 모두 집중력을 통해 댄서와 관객에게 몰입감을 준다. 또한 두 춤은 모두 즉흥성이 강하다. 이는 두 춤 장르가 모두 타악에서 출발했다는 공통점을 갖기 때문이다. 이처럼 두 장르의 간극은 생각보다 좁음을 연구를 통해서 알게 되었고, 융합과 협업을 통해 상생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1세기 한국춤은 예술의 엘리트주의를 강조함으로써 대중성을 잃었다. 반면에 비보잉은 대중성을 넘어 이제 예술성을 인정받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한국춤도 예술성을 넘어 대중성, 보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현대의 춤과 보다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미래 무용교육 발전에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한국 춤의 문화적 변동
1. 비보이댄스의 춤 문화
2. 한국무용의 춤 문화
Ⅲ. 춤의 대중성과 예술성
1. 비보잉의 대중성과 예술성
2. 한국무용의 예술성과 대중성
Ⅳ. 비보잉을 통한 한국춤 ‘메소드’로의 재현
1. 비보잉과 한국춤 특성의 비교
2. 비보잉, 한국춤으로의 메소드 재현 가능성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고경희 Ko, Kyung Hee. 한국체육대학교, 시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