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뇌 활성 비교에 의한 e스포츠 영상 콘텐츠와 실제 축구 영상 콘텐츠가 관람객의 각성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Effects of eSports and Actual Soccer Video Content on the Awakening and Immersive of Spectators by Comparison of EEG Activation

최경환, 황옥철, 김용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ports (FIFA Online 4) images and actual soccer (EPL) highlight images on the awakening and immersion of spectators by comparative analysis of brain activity differences. For this reason, after viewing soccer video content for the purpose of cognitive psychological approach-based analysi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asking the level of arousal and immersion, and after viewing the video content for the purpose of cognitive neuroscience approach-based analysis, EEG. Collected materials. The research target was 12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Busan City, and the research proceeded to the experimental research,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irst, looking at the eSports (FIFA Online4) video and the actual soccer video content,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rousal and immersion felt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not significant. Secondly, the results of brain activity difference analysis when viewing different soccer video contents show that in theta wave band, when watching eSports soccer (FIFA Online4) video, it is more significant in the frontal lobe and parietal lobe than when watching the actual soccer video. Low activity was observed. .. In the alpha wave band, esports soccer (FIFA Online4) images show relatively less activity in the frontal lobe. In the beta wave band, esports soccer (FIFA Online4) images showed a relatively small reduction in activity in the frontal and parietal lobes. In the gamma wave band, esports soccer (FIFA Online4) footag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in the frontal and parietal lobes. Based on these results, eSports video viewing and actual soccer video viewing are performing cognitive functions such as visual position and spatial information generation and working memory, target attribute comparison / judgment / final selection, and selective attention concentra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ffected by the accident and attention concentr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s to the equivalence of eSports and its position as a viewing sport, and presents practical basic materials and developmen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Sports.

한국어

본 연구는 뇌 활성 차이 비교 분석을 통해 e스포츠(FIFA Online4) 영상과 실제 축구(EPL) 하이라이트 영상이 관람객의 각성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지심리학적 접근 기반의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축구 영상 콘텐츠 관람 후 각성 몰입의 수준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인지신경과학적 접근 기반의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영상 콘텐츠 관람 후 EEG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대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로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e스포츠(FIFA Online4) 영상과 실제 축구 영상 콘텐츠를 볼 때, 연구 참여자가 느끼는 각성 및 몰입의 수준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두 번째, 서로 다른 축구 영상 콘텐츠를 관람할 때 뇌 활성 차이 분석 결과, 세타파 대역에서는 실제 축구 영상을 볼 때보다 e스포츠 축구(FIFA Online4) 영상을 볼 때 전두엽과 두정엽에서 유의미하게 더 낮은 활성이 관찰되었다. 알파파 대역의 경우, e스포츠 축구(FIFA Online4) 영상을 볼 때 전두엽에서 활성이 상대적으로 적게 감소하였다. 베타파 대역의 경우, e스포츠 축구(FIFA Online4) 영상을 볼 때 전두엽과 두정엽에서 상대적으로 작게 감소하는 활성이 관찰되었다. 감마파 대역의 경우, e스포츠 축구 (FIFA Online4)영상을 볼 때 전두엽과 두정엽에서 유의미하게 더 높은 활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e스포츠 영상 관람과 실제 축구 영상 관람은 시각적 위치 및 공간정보 생성 및 작업기억, 대상의 속성 비교·판단·최종 선택, 선택적 주의집중 등의 인지 기능 수행 중 사고 및 주의집중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e스포츠의 당위성과 관람 스포츠로서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하였으며, e스포츠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기초자료와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절차
3. 측정 도구
4. 과제 개발
5. EEG 측정 세부 절차
6. EEG 분석
Ⅲ. 연구결과
1. 과제 유형별 각성 및 몰입 수준 비교
2. 영상 유형 별 뇌 활성 차이 비교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경환 Choi, Kyung-Hwan. 경성대학교 e스포츠연구소, 연구교수
  • 황옥철 Hwang, Ok-Chul. 경성대학교, 교수
  • 김용성 Kim, Yong-Seong.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