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중학생의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행복감 및 삶의 만족도의 차이 검증

원문정보

A Study to Verify the Difference in Self-esteem,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hysical Activity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신승아, 강민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physical activity induction methods and basic data for middle school students by examining and verifying differences in self-esteem,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items of physical activity level, self-esteem,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data for 2020, which is the third year of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s Korean Children's and Youth Panel Survey 2018.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84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Korea.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performing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hi-square, and one-way ANOVA using SPSS 25.0. First,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improve self-esteem. Second,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improve happiness. Third,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seek alternatives that can induce participation in a wide range of physical activ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ir physical development, self-esteem,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한국어

이 연구는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행복감,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검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중학생들의 효과적인 신체활동 유도 방안과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에서 3차년인 2020년도 데이터 중 신체활동 수준, 자아존중감, 행복감, 삶의 만족도의 항목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내의 중학교 3학년 2,38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SPSS 25.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교차 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중학생들의 신체활동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 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들의 신체활동은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들의 신체활동 은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을 종합하면, 중학생들에게 신체발달, 자아존중감, 행복감, 삶의 만족 도 향상을 위해 폭넓은 신체활동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자료처리방법
Ⅲ. 연구결과
1. 성별에 따른 신체활동의 차이 검증
2.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차이 검증
3.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행복감 차이 검증
4.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 검증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승아 Shin, Seung-A. 세한대학교, 조교수
  • 강민구 Kang Min-Gu. 세한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