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특성 및 주거환경과 낙상 간 관련성 연구

원문정보

Association Between Hom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Fall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진연주, 홍익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falls and the 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as well as their home environments. Methods: A total of 9,411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ere retrieved from the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The relationships among falls, 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home environment were analyzed using step-wise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The dependent variable was fall events during the past 12 month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demographics,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home environments. Results: The majority of the sample individuals were 65-74 years in age (n = 6,069, 64.49%) and female (n = 5,626, 59.78%). A total of 585 (6.2%) older adults experienced a fall during the past year. Among the older adults, those living in another house type (odds ratio [OR] = 3.91, 95% confidence interval [CI] 1.85-8.27), having no spouse ([OR] = 2.30, 95% [CI] 1.37-3.85), and having no jobs ([OR] = 2.13, 95% [CI] 1.49-3.04) were likely to have a fall during the past 12 month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inform clinicians regarding the fall-related characteristic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nd help practitioners prioritize treatment plans for home modifications.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낙상과 관련된 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 관련 특성과 주거환경 사이의 관련성을 확인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65세 노인을 대상으로 낙상과 일반적 및 건강 관련 특성, 주거환경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변수의 결측치를 제외한 9,411명의 자료 를 활용하였다. 노인의 낙상 여부에 따른 일반적 및 주거환경, 건강 관련 변수들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지난 1년간 낙상을 경험한 노인은 585명(6.2%), 낙상을 경험하지 않은 노인 8,826명(93.8%)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의 연령은 65~74세가 6,069명(64.49%)으로 여성이 59.78%에 해당하였다. 낙 상과 가장 큰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주택 종류 중 기타 3.91배(95% CI: 1.85, 8.27)로 나타났으며 배 우자가 없을 때 2.30배(95% CI: 1.37, 3.85), 일한 경험은 있으나 현재 일을 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 2.13배(95% CI: 1.49, 3.0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낙상 위험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고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대상자 분류 및 선정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변수
4. 자료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주거환경 특성
3. 대상자의 건강 관련 특성
4. 낙상 관련 요인으로써 대상자의 일반적특성 및 건강 관련 특성, 주거환경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진연주 Jin, Yeonju.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사과정
  • 홍익표 Hong, Ickpyo. 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