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충동성 구분에 따른 정서조절방략 사용이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Perceived Stress : Focused on Classification of Impulsivity

최지수, 성기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impulsivity on perceived stress through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Specifically, this study classified the concept of impulsivity into emotional impulsivity and non-emotional impulsivity, and examined the indirect effect of adaptive or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 total of 151 psychiatric patients completed the UPPS-P Impulsive Behavior Scal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 (ERSQ), Perceived Stress Scale (PSS), and Beck Depression Scale 2nd edition (BDI-II).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impulsivity, the more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re used, and the perceived stress level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level of non-emotional impulsivity, the les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re used, and accordingly, the perceived stress level increased. In each result, the direct effect was not significant, and only the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Furthermore, the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when the depression was controll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plays a key mediating role in the path through which impulsivity leads to stress, and more importantly indicate that the mediation pattern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could differ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of impulsivity-emotional and non-emotional impulsivity.

한국어

본 연구는 충동성 개념을 다차원적 충동성 모델을 바탕으로 재조명하고, 정서적 충동성(부정 긴급성, 긍정 긴급성)과 비정서적 충동성(계획성 부족, 지속성 부족)이 적응적 및 부적응적 정 서조절방략을 매개하여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정신건강의학과 환자 151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충동성 척도(UPPS-P), 정서조절방략 질문지(ERSQ), 지각된 스트레 스 척도(PSS), 벡 우울 척도 2판(BDI-II)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적 충동성이 높아질수록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을 많이 사용하였고, 이에 따라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지는 것 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정서적 충동성이 높아질수록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을 적게 사용하였 고, 이에 따라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결과에서 직접효과 는 유의하지 않고 간접효과만 유의하였으며, 간접효과는 우울을 통제하고도 유의하였다. 이는 충동성이 스트레스로 이어지는 경로에 정서조절방략이 핵심적인 매개역할을 하며, 특히 충동 성 구분에 따라 정서조절방략의 사용 양상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다차원적 충동성
정서조절방략과 정신병리
지각된 스트레스
연구목적 및 모형
방법
연구 참가자
측정 도구
자료 분석
결과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지수 Jisu Choi. 인제대학교 섭식장애정신건강연구소, 연구원
  • 성기혜 Gyhye Sung. CHA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