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우울증상을 호소하는 준임상적 대학생을 위한 행동 활성화 개입의 효과

원문정보

Effects of a Behavioral Activation Intervention for Subclinical Undergraduate Students with Depression Symptoms

김태경, 조용래, 오충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behavioral activation intervention on negative mental health variables (depressive symptoms, rumination, and impairment in functioning) and positive mental health variables (positive emotion, value-consistent behaviors, and mental well-being) of subclinical undergraduate students with depression symptoms. Thirty-four subclinical undergraduate students with mild to moderate levels of depression symptoms were divided into two conditions, among which 17 from one condition completed the behavioral activation intervention and the other 17 were assigned to the non-treatment control condition. The behavioral activation intervention consisted of six semiweekly sessions.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in the non-treatment control condition, those in the behavioral activation intervention condition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depression symptoms and impairment in daily functioning, as well as significant increases in positive emotion and mental well-being.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nditions in rumination and value-consistent behavior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ehavior activation intervention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improving several mental health variables among subclinical undergraduate students with depression symptoms.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s well as its implications a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행동 활성화 개입이 우울증상을 호소하는 준임상적 대학생들의 부정적 정신건강변인(우울증상, 반 추, 적응기능곤란)을 완화하고, 긍정적 정신건강변인(긍정적 정서, 가치에 부합된 행동, 정신적 웰빙)을 증진하는 데 효과적인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행동 활성화 개입의 효과성은 무처치 통제조건과 비교 평가되었다. 경도와 중 등도 사이의 우울증상을 호소하는 34명의 준임상적 대학생들이 행동 활성화 개입(n=17)과 무처치 통제 조건 (n=17)에 각각 끝까지 참여하였으며, 행동 활성화 개입은 총 6회기(주 2회씩)로 진행되었다. 두 조건의 참가자들 모두 사전, 종결 직후(사후), 그리고 종결 후 2주 시점(추후)에 행동 활성화 척도와, 부정적 및 긍정적 정신건강변 인들을 측정하는 척도들을 작성하였다. 분석 결과, 행동 활성화 개입 조건은 무처치 통제 조건에 비해 우울증상 과 적응기능 곤란이 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긍정적 정서, 정신적 웰빙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반추, 가치에 부합된 행동수준에서는 두 개입조건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결과들 은 행동 활성화 개입이 우울증상을 호소하는 준임상적 대학생들의 정신건강문제를 개선하고 긍정적인 정신건강 을 증진하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에 관해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 대상
행동 활성화 개입 프로그램
측정 도구
자료 분석
결과
두 조건 간 사전 동질성 검증
행동 활성화 개입의 처치 점검
정신건강변인들에 대한 행동 활성화 개입의 효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태경 Taegyeong Kim. 한림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석사과정
  • 조용래 Yongrae Cho.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오충광 Chungkwang Oh. 한림대학교 캠퍼스라이프 카운슬링센터, 상담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