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가정체성 형성과 불량한 청춘 : <맨발의 청춘>(김기덕, 1964)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National Identity Formation and Delinquent Youth : Focused on The Barefooted Young(1964)

이대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d on the meaning of delinquency in The Barefooted Young(1964) as a signifying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1960s new national identity. From the beginning of the 1960s, the government ruler and the governed both resisted Syngman Rhee’s regime and shared the newness in completely different directions. Their discrepant coexist got a crack from 1964. The governed started a movement against the Korea Japan Normalization Treaty, so the government has declared martial law in those days. This study argued the youth on the screen had been represented as a target of the observation and the rehabilitation while the youth of the real street disobey an order and be at pains to win the voice. The Barefooted Young shows a tragic love between the upper-class college woman Yo-Anna and the street-rough Doo-Soo. They tried four times date but failed the third and the fourth because of Doo-Soo’s delinquency. He left prison and tried to become a sincere and proper citizen but, his love still is classed as a rebellious side by society. They run away from all, but swift and extensive police who track the lovers and surveillance become a protagonist of the scene. The surveillance system appeared consistently in The Barefooted Young. It stipulates Doo-Soo is not a protected citizen but a non-citizen that a source of potential danger.

한국어

본 연구는 1960년대 청춘영화 주인공들의 불량에 주목하여 국가정체성 형성에서 ‘내치’의 문제를 다룬다. 4·19와 5·16은 구악(舊惡)에 저항하며 서 로 다른 방향에서 새로움을 공유했다. 이들이 서로를 적대시하며 투쟁을 전개하는 시점은 청춘영화가 시작되는 1964년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1964년 ‘거리의 청춘’이 지배권력의 강압적인 명령을 거역하고 자 신의 목소리를 내고자 할 때, ‘스크린의 청춘’은 어떤 모습으로 호출되었 는지 살핀다. <맨발의 청춘>은 상류층 대학생 요안나와 건달 두수의 비극 적 사랑을 다룬다. 요안나와 두수는 네 번의 데이트를 한다. <맨발의 청 춘> 반복되는 두수의 데이트 준비과정이 구축한 평행성의 구조를 통해 불 량으로 인한 데이트의 실패와 갱생을 통한 데이트 성공의 기대감을 동시 에 보여준다. 그러나 <맨발의 청춘>은 갱생의 강조에서 멈추지 않는다. 두수는 끊임없이 갱생하지만, 여전히 불량한 식별대상이다. 그렇다면 영 화는 두수가 불량한가, 아닌가의 문제가 아니라, 관객이 두수의 불량을 식별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된다. <맨발의 청춘> 곳곳에 배치된 감시의 시선은 불량한 두수를 언제든 범죄자가 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진 비국민 으로, 관객은 이를 식별해야 하는 주체로 규정하는 내치의 정당화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내치(內治)로서 불량과 갱생
(1) 불량한 두수의 데이트
(2) 갱생을 통한 기대감
3. 내치의 체화를 통한 주체의 관리
4.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대범 Lee Dae Bum.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