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공적 세계의 표상과 존재론적 위상 : <트루먼 쇼>와 <프리 가이>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Representation and Ontological Status of the Artificial Worlds : Focusing on The Truman Show and Free Guy

신홍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ruman Show(1998) and Free Guy(2021) in common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and the conflict between programmed life and free will. However, the artificial world occupying physical space in the former and the digital game world made up of bits of 0 and 1 in the latter are represented in differentiated ways in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with reality.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artificial worlds in the above two films in terms of time and space, series of events, and ontological status.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and time, the spatiotemporal continuity and the temporal irreversibility are revealed in The Truman Show, while the spatiotemporal segmentation and the temporal reversibility in Free Guy. Also, in the artificial worlds of the works, the arbitrary series of events are more prominent tha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Especially in Free Guy, the arbitrary feature in the series of events is relatively strengthened due to the nature of the digitally constructed game world being free from the physical laws of reality. In the above works, the image of the horizon functions as an index to discri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the virtual at the ontological level. In The Truman Show, the horizon is a visual metaphor suggesting that Truman goes through an ontological extinction and moves into real life. In contrast, the horizon in Free Guy is suspended as Guy, though he has acquired free will, moves from one virtual world to another, and the duality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is maintained. The comparative study of these films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changes in the representation and ontological status of the artificial worlds,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한국어

영화 <트루먼 쇼(The Truman Show)>(1998)와 <프리 가이(Free Guy)>(2021)는 현실과 가상의 관계 및 기획된 삶과 자유의지의 충돌을 다룬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지닌다. 그러나 <트루먼 쇼>에서 물리적 공간 을 점유한 인공적 세계와 <프리 가이>에서 0과 1의 비트로 이루어진 디 지털 게임의 세계는 현실과의 길항관계 속에서 차별화된 방식으로 표상된 다. 이 글은 위 두 영화에 나타난 인공적 세계를 시간과 공간, 사건의 계 열화, 존재론적 위상의 측면에서 비교 연구한 것이다. 시공간의 관점에서 볼 때, <트루먼 쇼>에서는 시공간의 연속성과 시간 의 불가역성이, <프리 가이>에서는 시공간의 분절성과 시간의 가역성이 특징으로 드러난다. 또한 위 두 작품의 인공적 세계에서 사건의 인과관계 보다는 사건 사이의 계열화가 두드러진다. 특히 <프리 가이>에서 디지털 로 구축된 게임의 세계는 현실의 물리적 법칙으로부터 자유로우므로 사건 의 자의적 계열화가 강화된다. 위 영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수평선의 이미지는 현실과 가상의 관 계를 존재론적 층위에서 변별시키는 지표로 기능한다. <트루먼 쇼>에서 수평선은 트루먼이 존재론적 소멸을 거쳐 현실의 삶으로 나아감을 암시하 는 시각적 은유다. 이와 대조적으로, <프리 가이>에서 가이는 자유의지를 획득했을지언정 하나의 가상 세계에서 다른 가상 세계로 넘어간다는 점에 서 수평선은 유예되며 현실과 가상의 이원성이 유지된다. 위 영화의 비교 연구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이 인공적 세계의 표상 방식 과 존재론적 위상에 가져온 변화를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인공적 세계의 공간
(1) 공간의 연속성 및 분절성
(2) 인공적 공간과 현실 공간의 관계
3. 인공적 세계의 시간
(1) 시간의 연속성 및 분절성
(2) 시간의 가역성 및 비가역성
4. 사건의 자의적 계열화
5. 가상의 존재론적 위상과 수평선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홍주 Shin, Hongju. 한국창의예술고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