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리얼리즘 회화의 두 계열 : 하만의 존재론적 관점에서

원문정보

Two Lines of Realism Painting : From Harman's Ontological Perspective

조경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critical basis for contemporary realism painting, proposing that realism painting can be divided into two lines,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I define any realism painting as an epistemological realism as long as it derives from the perspective of representational realism, that is, the epistemological framework of the external and surrogate relationship between representation and reality, and this fundamental premise is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ontological lines, Korean figure paintings in the 1980s are classified as the ontological series, centering on Kim Bok-Young's discussion. Furthermore, by examining the works of two contemporary realism painters from the perspective of Harman's object-oriented ontology, it is shown that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an epistemological lines and an ontological lines in realism paintings. As a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 in Harman's object oriented ontology, 'the quadruple structure of an object' encompasses both ontology and epistemology in that it explains the nature of an object ontologically, while also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terms within the structural frame. What is important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is the position of representation and sensation in his theory. He holds that sensations or sensory representations in some way guarantee a relationship with reality, that is, with real objects. This suggests a way for the representation of realism painting to relate to reality in a way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inciple of representational realism. As a result,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method of using representation in ontological realism is different from the method assumed by representational realism, whether it is Kim’s ‘fusion’, or Harman’s ‘contact’ or ‘allure’.

한국어

본고는 리얼리즘 회화가 인식론적 계열과 존재론적 계열로 구별될 수 있음을 보이고, 이를 통해 동시대 리얼리즘 회화에 대한 비평적 토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구의 리얼리즘 회화가 표상적 실 재론, 즉 표상과 실재의 외적 대리 관계라는 인식론적 구도에서 유래하고, 이 근본 전제가 유지되는 한 어떤 리얼리즘 회화는 인식론적 계열에 속하 는 것으로 간주한다. 한편, 존재론적인 계열의 경우, 한국의 80년대 형상 회화를 김복영의 논의를 중심으로 존재론적 계열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한 다. 나아가 동시대의 두 리얼리즘 작가의 작업을 하만의 객체 지향 존재 론의 구도를 통해 규명함으로써 인식론적 계열과 존재론적 계열의 구분이 체계적으로 가능함을 보인다. 하만의 객체론에서 이론적, 개념적 프레임으로서 ‘객체의 사중 구조’는 객체의 본성을 존재론적으로 해명하면서도, 그 구조적 틀 안에서 네 항 간의 관계를 해명한다는 점에서 존재론과 인식론의 관점을 모두 아우른 다. 미학적 관점에서 중요한 것은 그의 객체론에서 표상과 감각이 실재와 의 관계에서 차지하는 위치이다. 그는 감각이나 감각 표상이 어떤 식으로 건 실재, 즉 실재 객체와의 관계를 보증한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이는 리 얼리즘 회화의 표상이 표상적 실재론의 인식론적 원리와 다른 방식으로 실재와 관계 맺을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이 논문은 존재론 적 계열의 리얼리즘에서 표상을 사용하는 방식은 표상과 실재의 재현적 대리 관계라는 도식에서 벗어나 인식 이전의 층위에서 중첩(김복영)의 방 식이나, 혹은 접촉이나 매혹(하만)과 같은 방식을 따를 수 있다고 본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리얼리즘의 인식론적 계열
3. ‘존재론적 중첩’의 리얼리즘
4. 리얼리즘의 존재론적 계열: 접촉과 은유적 매혹
(1) 하만의 객체 지향 존재론(Object Oriented Ontology)
(2) 객체 지향 리얼리즘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경진 Cho, Kyung Jin. 홍익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