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예술 잡지 『아침(朝)』(1926년) 연구 - 아사카와 노리타카(浅川伯教)와 백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Noritaka Asakawa and White Porcelain : A study on Joseon Art Magazine “The Morning”

엄인경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Japanese Joseon art critics’ discourses on Joseon art in the mid􋹲 1920s in the art magazine The Morning, with a focus on articles by Noritaka Asakawa, a revered figure in the world of Joseon pottery. Launched in 1926, The Morning discussed contemporary Joseon music, drawing and literary art that emphasized local Joseon tastes, trends, and color. In the mid􋹲1920s, a group of Japanese critics who were liv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were prominent in Joseon’s painting and architecture circles aesthetically evaluated the static, monotonous, and uneasy feelings of Joseon art through reviews in The Morning. The reviews seemed to largely embrace Muneyoshi Yanagi’s feelings of the “beauty of sorrow” of the art of Joseon. However, in a review demonstrating his own unique views of Joseon art, Noritaka acknowledged the aesthetic value of Joseon art represented by white porcelain in terms of vitality, stability, and dimensional sensibility.

한국어

이 논문은 1926년에 창간된 조선 예술 잡지 『아침』의 현존본을 통해, 아사카와 노리타 카를 비롯한 재조일본인들에 의해 개진된 1920년대 중반 조선 예술 담론을 검토한 것이다. 『아침』은 ‘조선색’을 강조한 시가와 수필 등의 문예물, 음악과 미술이라는 세 범주에서 당 시의 조선 예술을 종합적으로 논하고자 한 잡지이다. 1920년대 중반 조선의 회화나 건축에 가장 조예가 깊었던 재조일본인들은 이 잡지의 평론을 통해 조선의 예술에 대해 가진 정적 이고 단선적이며 불안한 애상감을 미적으로 평가하였는데, 이는 야나기 무네요시의 조선 예술관인 비애의 미 개념을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아침』은 표지부터 사진, 혹은 삽화 커 트에 이르기까지 아사카와 노리타카에 의해 제공된 백자가 주요 소재로 사용되어 조선 예 술품의 대표 주자로 배치되어 있다. 노리타카 역시 조선 특유의 미를 인정하고, 조선 예술 과 문화의 파괴에 대해 비판하며 야나기 무네요시와 공명하였다는 점에서 재조일본인들과 공통적이다. 하지만 백자로 대표되는 조선 예술에 생명력, 안정감, 입체감, 실용성 측면에서 미적 가치를 인정한 점은 노리타카 특유의 조선예술관임을 알 수 있다. 『아침』은 1920년대 중반 조선 고유의 예술과 미에 관해 미술, 음악, 시가 등의 문예 방면에서 생생한 정보를 담고 있는 잡지이므로 향후로도 고찰의 필요성이 다대한 자료라고 하겠다.

목차

Abstract
1. 들어가며
2. 잡지 『아침』과 1920년대 중반 ‘조선 예술’의 범위
3. 『아침』에 보이는 주요 조선 예술관
4. 아사카와 노리타카의 조선 문화 예술론 : 글과 그림, 그리고 백자
5. 나오며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엄인경 Inkyung UM.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텍스트 : 朝鮮藝術社(1926), 『朝』創刊號・第2號, 朝鮮藝術社.
  • 2A Suggestion for the Educational Convergence of Literature and Art -On Sir John Everett Millais`s Ophelia-네이버 원문 이동
  • 3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
  • 4회화와 문학의 비교매체론네이버 원문 이동
  • 5김용덕・미야지마 히로시 공편(2007), 『근대교류사와 상호인식Ⅱ』, 아연출판부, pp.254-268
  • 6식민지시기 유입된 일본어 도자공예 용어가 現도자공예 용어에 미친 영향네이버 원문 이동
  • 7조선미술전람회 공예부의 개설 과정에 대한 고찰 : 전람회를 통한 근대 공예 개념의 형성과 확산네이버 원문 이동
  • 8Modern Japanese Ceramists and “Korea”네이버 원문 이동
  • 9The hometown statement of the Japanese who lived i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colony term, and the Korean folk song theoryearticle 원문 이동
  • 10엄인경(2014), 「한반도의 일본 전통시가 잡지의 유통과 일본어 문학의 영역―단카(短歌)・하이쿠(俳句)・센류(川柳) 잡지의 통시적 전개」, 『동아시아의 일본어잡지 유통과 식민지문학』, 역락, pp.127-156.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