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PR 커뮤니케이션 관점의 디지털 시민참여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 이슈 가치 유형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Factors Affecting Digital Civic Engagement in the Perspective of Public Relations Focusing on the Issue Value Type

이준희, 유승희, 김수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digital civic engagement in PR communication and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digital civic engagement. We classified issue type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digital civic engagement according to issue types. Methods In this study, online quasi-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dividing issue types into personal value issues (carbon tax) and social value issues (child welfare)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issue types on digital civic engagemen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491 adults residing in Korea through an online research company. Results Attitudes and participative efficacy had a major influence on digital civic engagement in personal value issues. For social value issues, emotional factors such as anger and anxiety showed a greater influence than personal value issues. Conclusions In this study, issue type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issue value judged by the public and the differences in digital civic engagement issue types are reviewed. The discussion on digital civic engagement as a PR communication activity was expanded by finding out that the factors affecting digital civic engagement act differently for each issue type.

한국어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PR 커뮤니케이션에서 디지털 시민참여가 갖는 의미를 검토하고 디지털 시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슈 유형을 구분하고 이슈 유형에 따라 디지털 시민참여 영향요인 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시민참여에 대한 이슈 유형의 차이를 검토하기 위해 이슈 유형을 개인 가치 강조 이슈(탄소 세)와 사회 가치 강조 이슈(아동 복지)로 구분하여 온라인 준 실험을 시행했다. 실험은 국내 거주하는 성인 491명 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회사를 통해 시행했다. 연구결과 개인 가치 강조 이슈에 대한 공중들의 디지털 시민참여에는 태도와 참여효능감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사회 가치 강조 이슈는 개인 가치 강조 이슈보다 분노와 불안 같은 감정적 요소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결론 및 함의 본 연구에서는 이슈 유형을 공중이 판단하는 이슈 가치에 따라 유형화하고, 디지털 시민참여에 대한 이슈 유형의 차이를 검토했다. 이슈 유형별로 공중의 디지털 시민참여에 대한 영향요인이 다르게 작용한다는 것을 통해 PR 커뮤니케이션 행위로서 디지털 시민참여에 대한 논의를 확장했다.

목차

요약
연구목적 및 문제제기
이론적 배경
디지털 시민참여
이슈 유형과 공중행동
공중행동 영향요인
연구 문제 및 연구 모형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주요 변인의 조작적 정의
연구 결과
기초 분석
연구 문제 분석 결과
결론 및 함의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이준희 JunHee Lee.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 연구소 연구위원
  • 유승희 Seung Hee Yoo. 고려대학교 4단계 BK21 미디어학교육연구단 연구교수
  • 김수진 Soojin Kim.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