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연종조사설에 대한 고찰(1)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inese Liánzōng Patriarch (Pure Land Patriarch) Theory(1)

최복희(오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is a comprehensive study about the Chinese liánzōng Patriarch theory (蓮宗祖師說; hereinafter, Patriarch theory), that is, the Sajasangseung (師資相承; A disciple receives the dharma from his master, and mutually inherits the teachings of the Buddha) of China's Pure Land Buddhism. Although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Patriarch theory was conducted by Chen Chien‐huang (陳劍鍠) in 2013, there were many deficiencies due to omission of literature and errors in analysis. This study focuses on Buddhist literature in China and Japan from the 7th to the 19th centuries, and the Patriarch theory was not establishe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number of Patriarchs, starting with the five Patriarch theory. The Patriarch theory established over the course of the 12th century is very complex. In particular, the issue of judging Huìyuǎn, the beginning of Chinese liánzōng, as ‘originator (始祖)’ or ‘progenitor (一祖)’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development of Patriarch theory, but even scholars have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related literature, increasing confusion. On the other hand, Japanese Hōnen divided the Pure Land Buddhism into three sects (流波), and the group of Dao‐chuo shàn‐dăo was divided into two transmission theories, sourced from “Anle‐ji (安樂集; Paradise Collection)” and two “Gaoseng Zhuan” through Tang‐Song (唐‐宋). However, the issue with the group of Dao‐chuo shàn‐dăo is that there are no Dao‐chuo and shàn‐dăo in the tradition of the “Anle‐ji” source, and the personal biography of shàn‐dăo is not included in the two “Gaoseng Zhuan”. The group of Dao‐chuo shàn‐dăo from the “Gaoseng Zhuan” source, which contains such issues, is the 'Pure Land 5 Patriarch Image(淨土五 祖像圖)', which Hōnen(法然) commissioned Chōgen(重源) and transmitted(將來) to Japan, which matches the five liánzōng Patriarchs. Therefore, it is natural to think that Hōnen formed a group of Dao‐chuo shàn‐dăo in the “Gaoseng Zhuan” source based on the Patriarch image. However, some scholars, including Japanese Kathuki joukou, deny the transmission of the Patriarch image, and claim that the group of Daochuo shàn‐dăo from the “Gaoseng Zhuan” source is Hōnen's independent view. The Patriarch theory from the 7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starting with the 6 Patriarch theory with “Anle‐ji” and two “Gaoseng Zhuan” as the source, was formed in the order of 7 Patriarch theory of “Le Bang Wen Lei”, 5 Patriarch theory of Patriarch image, and 5 Patriarch theory of “Le Bang Wen Lei”, and the ‘Huìyuǎn→shàn‐dăo→Seungwon’ theory of “Fozu Tongji (General History of Chinese Buddhism)” became the basis of the later Patriarch theory.

한국어

본고는 중국의 연종조사설(이후 조사설), 즉 중국 정토종의 사자상승(師資相承)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이다. 조사설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는 2013년에 진검굉(陳劍鍠)이 하였으나, 문헌의 누락 및 분석의 오류 등으로 인하여 미비한 점이 많았다. 본고의 연구 범위는 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중국과 일본의 불교문헌을 중심으로 하였다. 조사설은 5조설을 시작으로, 조사들의 숫자가 점차 증가하며 성립된 것이 아니다. 12세기에 걸쳐서 성립된 조사설은 매우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특히 중국 연종의 시작인 혜원을 ‘시조(始祖)’ 또는 ‘일조(一祖)’로 판단하는 문제는 조사설의 전개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학자들마다 관련 문헌의 해석을 달리하기 때문에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한편 일본의 법연(法然)은 정토종을 세 가지 유파로 구분하고, 도작선도류를 『안락집』과 당·송의 두 『고승전』을 전거로 한, 두 가지 전승설로 나누었다. 그런데 도작선도류의 문제는, 『안락집』 전거의 전승에는 도작과 선도가 없으며, 두 『고승전』에는 선도 개인의 전기가 수록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문제를 내포한 『고승전』 전거의 도작선도류는, 법연이 중원(重源)에게 부탁하여 일본으로 장래한 ‘정토오조상도’의 5명의 연사와 일치한다. 때문에, 법연이 조상도를 근거로 하여, 『고승전』 전거의 도작선도류를 성립하였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하지만 일본의 카즈키 죠코(香月乗光)를 비롯한 일부 학자들은 조상도의 장래를 부정하고, 『고승전』 전거의 도작선도류는 법연의 독립적인 견해라고 주장한다. 7세기에서 19세기까지의 조사설은, 『안락집』과 두 『고승전』을 전거로 한 6조설을 시작으로 『낙방문류』의 7조설, 조상도의 5조설, 그리고 『낙방문류』의 5조설의 순서로 형성되고, 『불조통기』의 ‘혜원→선도→승원’설이 이후 조사설의 근간이 되었다.

목차

한글요약
Ⅰ. 들어가기
Ⅱ. 불교문헌에 나타난 연종조사설
Ⅲ. 법연과 연종조사설에 대한 검토
Ⅳ. 나가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복희(오인) Choi, Bok-hee(Ven. O-in).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