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옹 석호의 참사람의 윤리적 의미 - ‘덕’ 윤리와의 비교를 통해서 -

원문정보

Seo-ong Seokho's Ethical Meaning of True Person - Through Comparison with ‘Virtue' Ethics -

김종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thical meaning of Seo-ong Seokho's thought by comparatively analyzing Seo-ong Seokho's [西翁石虎, 1912-2003] true man and the modern ‘virtue' ethics. The modern ‘virtuous’ethic was triggered by self-reflection on modern rationalistic rationalism, and Seo-ong Seokho also criticized Western civilized [scientism‧rationalism] ideas as philosophies that oppose each other and encourage conflict. As such, both ideas criticize the ethics of rationalistic rationalism. Also, both ideologies believed that the answer lies in human character in order to promote or restore human ethics. Their idea is that each individual will become a subject who can choose and judge moral good for himself by having a good character. In other words, it speaks of the ‘actor’- centered ethics. Seen in this way, both ideologies believe that all human beings should judge and act on their own according to the special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in which they are placed. However, in order to realize this, the process of practice or self-cultivation was different. Seo-ong Seokho's methodology, meditation, is a hui[慧] that is revealed as soon as one enters into ding[定] by ignoring all of one's consciousness and thoughts and only contemplating the topic, without realizing that all things in the world are one and doing it without thinking of doing it. It is said that ‘Tong-ti-ci-bei[同體慈悲]' and ‘Zi-li-li-ta[自利利他]' are practiced. However, the character revealed in the ‘virtue’ethics was embodied by ‘habit’. This habit is not made by simply repeating any action, but through ‘consideration' based on ‘practical wisdom', and this practical wisdom was enhanced by accumulating social experience. As such, the purpose of Seo-ong Seokho's meditation practice is to realize one's original public character, and to speak of the act of wisdom revealed in this. Therefore, in order to do ‘Tong-ti-ci-bei [同体慈悲]' and ‘Zi-li-li-ta [自利利他]' that Seo-ong Seokho said, it was necessary to acquire wisdom through good deeds. On the other hand, in the ‘virtuous’ethics, it is said that one’s character is confirmed and embodied in the process of making a habit of doing it by contemplating on the basis of practical wisdom acquired through various experiences. It can be seen that the basic ideas of the two ideas, that is, the ethical potential of human beings are the same in that they are searched for in human nature,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ir methodology and logic. Therefore, Seo-ong Seokho's ethical thought is characterized by an ‘actor'- centered ethics in which each individual reveals his/her own wisdom by cultivating his/her character, and through this, each individual becomes a subject of morality and judges and acts according to conditions. This was consistent with the theory of ‘virtue’thics, which is leading modern ethics. However, there was a part where each individual's performance process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한국어

본 연구는 서옹의 참사람과 현대 ‘덕’ 윤리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서옹 사상의 윤리적 특징과 현대적 의의를 파악하고자 한 논문이다. 현대 ‘덕’ 윤리는 근대 합리주의적 이성주의에 대한 스스로의 반성에서 촉발되었고 서옹 또한 서양의 문명[과학주의‧이성주의]적 사고는 서로 대립 하고 갈등을 초래하는 철학이라고 비판하였다. 이와 같이 두 사상 모두 합 리주의적 이성주의의 윤리성을 비판한다. 또한 두 사상 모두 인간의 윤리 성을 증진 또는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인간의 성품에 그 해답이 있다고 보 았다. 이러한 그들의 사상은 각 개인이 훌륭한 성품을 가짐으로써 스스로 도덕적 ‘좋음(good)’을 선택하고 판단할 수 있는 주체가 될 것을 말한 것이 다. 즉 ‘행위자’중심의 윤리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다면 두 사상 모두 모든 인간은 각자가 처한 특수한 상황과 조건에 따라 스스로 좋음을 판단하는 도덕의 주체가 되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윤리적 사회 를 구현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후덕자’가 되기 위한 방법론은 상이했다. 서옹의 방법론 인 참선은 자신의 모든 의식과 사고를 여의고 오직 화두를 참구함으로써 선정[定]에 들어감에 즉 하여 밝혀지는 지혜[慧]로써 모든 세상 만물이 본 디 하나임을 깨닫고[自他不二] 이에 한다는 생각 없이[無爲] 동체자비(同體 慈悲)‧자리이타(自利利他)가 행해진다고 말한다. 하지만 ‘덕’ 윤리에서 말하 는 성품의 밝힘은 ‘습관’에 의해 체화(體化)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습관은 단순 어떠한 행위를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적 지혜’에 기반을 둔 ‘숙 고’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실천적 지혜는 사회적 경험을 쌓음으로 인해 증진되는 것이었다. 이처럼 서옹의 참선 수행 목적은 본디 공적한 자 성을 깨닫는 것이고 이에 즉하여 드러나는 지혜로써의 행위를 말하는 것 이다. 이러한 지혜에 기반을 둔 행위 즉, 동체자비‧자리이타와 같은 자비행 은 수행을 통한 지혜에 기반하여 실현되는 것이었다. 반면 ‘덕’ 윤리에서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습득된 실천적 지혜를 기반으로 숙고하여 중용에 맞 게 행하고, 이를 습관화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성품을 확인하고 체화하는 것이었다. 두 사상의 기본적 사상, 즉 인간의 윤리적 가능태를 인간의 성 품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그 방법론과 논리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서옹의 윤리 사상은 각 개인이 성품을 닦음으로 스스로 지혜를 밝히고, 이로 말미암아 각자가 도덕의 주체가 되어 자신이 처한 특수한 상 황과 조건에 따라 판단하고 행위하는 ‘행위자’ 중심 윤리의 특징이 발견된 다. 이는 현대 윤리학을 주도하고 있는 ‘덕’ 윤리의 이론과 합치하는 부분 이었다. 다만 각 개인이 성품을 닦는 수행 또는 자기 수련의 과정에서는 상이한 부분이 있었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서옹의 ‘참사람’의 특징과 ‘덕’ 윤리의 특징
1. 서옹의 참사람의 특징
2. ‘덕’ 윤리의 특징
Ⅲ. 서옹 사상과 ‘덕’ 윤리의 윤리적 방법론과 논리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용 Kim, Jong-yong. 동국대학교 선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