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오대산의 풍수지리학적 위상과 탄허의 화엄학적 풍수관

원문정보

The Feng Shui Geographical Status of Odaesan Mountain and Tanhe's Feng Shui Perspective of Flower Ornament Study

권기완(문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daesan Mountain is already recorded as a propitious site in terms of feng shui geography in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n particular, Japanese colonial era Lee Neung-hwa recorded Odaesan sacred buddha relic temple as a “mountainous propitious site where Buddha's sarira is enshrined” through a history of History of Choseon Buddhism. As a result, the feng shui aspect was highlighted, and it left an article that convinced the Jajang preceptor enshrined the Buddha's sarira.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Odaesan Mountain in Korea's feng shui geography by reconsidering Odaesan Mountain, sacred buddha relic temple, Sangwonsa Temple, and Woljeongsa Temple, which were written as ‘propitious site’ in Lee Neung-hwa's historical records.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feng shui geography perspectives of Jajang, Bocheon, Hyo-myeong, Na-ong, Han-am, and Tanheo, which are the previous masters of Odaesan Mountain, and examined how the feng shui perspectives of high priests differ from Confucian feng shui. Buddhist monk Tanheo accepted the theory of feng shui in a Buddhist way based on the idea of Flower Ornament Study just as unobstructed thought and distinctive wisdom. His broad ideas can be seen as representative of the view on feng shui geography of Korean Buddhism. In order to extract the fundamental meaning of Korean feng shui, I first presented the spirit of ‘distinctive wisdom’ in Flower arnament Study, and the spirit of Great vehicle feng shui, Public Pungsu as concepts of Buddhist feng shui distinct from Confucianism. I would like to continue my research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feng shui through the feng shui status of Odaesan Mountain,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enter of Korea's Buddhist feng shui.

한국어

오대산은 풍수지리학적으로 이미 『삼국유사』에서 명당으로 기록되어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의 이능화는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에서 오대산 적멸보궁을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한 산중 명당’으로 기록함으로써 풍수적 인 측면을 부각하고 자장율사의 봉안으로 확고하게 인식되게 하려는 의도 적인 서술을 남겼다. 본 연구는 이능화의 역사기록에서 ‘명당’으로 특필된 오대산과 적멸보궁, 상원사와 월정사를 풍수지리학적으로 재고찰함으로써 한국의 풍수지리학 에서 오대산이 갖는 지위와 위상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아울러 오대산의 역대 고승인 자장, 보천, 효명, 나옹, 한암의 뒤를 이은 탄허의 풍수지리학 적 안목과 풍수관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탄허는 화엄학의 무애 사상과 차별지(差別智)에 입각하여 풍수학을 보살 행의 일환이자 방편으로서의 술학(術學)의 차원에서 광대하게 포섭하였다. 본인이 거처했던 도량과 직접 소점하여 불사했던 암자, 그리고 국가 주요 시설의 입지를 위해 풍수 안목을 유감없이 발휘했는데, 이 일화들을 통해 탄허의 풍수관이 화엄의 보현 보살행에 입각한 대승풍수와 공익풍수의 정 신이었다. 한국의 불교 풍수의 요람이라고 할 수 있는 오대산의 풍수지리학적 위 상과 오대산의 역대 고승들의 풍수 안목과 풍수관의 고찰은 향후 불교적 풍수사상의 특징은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좋은 선행연구 방법론을 제시했 다는 의의를 갖는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오대산의 풍수지리학적 위상
1. 오대산이라는 장소의 힘
2. 이능화의 「오대불궁 산중명당(五臺佛宮 山中明堂)」
3. 적멸보궁의 풍수지리학적 고찰
4. 상원사는 보천과 효명의 원찰(願刹)
Ⅲ. 탄허의 화엄학적 풍수관
1. 오대산 고승들의 풍수 안목
2. 탄허와 풍수
3. 화엄학의 무애와 차별지로 풍수학 수용
4. 보현보살행으로서의 대승풍수와 공익풍수
Ⅳ. 맺음말
Abstract

저자정보

  • 권기완(문광) Kwon, Ki-wan(Mun-kwang).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아사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