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32년 통도사 김구하(金九河)의 금강산 여행 - 『금강산관상록(金剛山觀賞錄)』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Kim Gu-ha's Travel to Geumgang Mountain in 1932

이경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im Gu-ha(1872-1965) was the chief monk of Tongdosa Temple and a leading figure in the Buddhist order in 1910-1920’s. Kim Gu-ha was a major figure in modern buddhist history who is needed research on diverse perspective. Among the various writings left by Kim Gu-ha, I researched Geumgangsan Gwansangrok( 『금강산관상록』), a travel record to Geumgang Mountain in 1932. Kim Gu-ha's record covered 130 days that was a long-term diary travel record of Geumgang Mountain, and it vividly captured the travel process and the appearance of the Geumgang Buddhist temples from the perspective of a mature Buddhist in old age. Kim Gu-ha wrote the appearance of infrastructure such as the electric train, newly establised mountain roads, and transformation of villages around Geumgang Mountain. And also he recorded the impressive appearance of major temples, the reconstruction of Mahayeon and the practice of Baek Sung-wook in Geumgang Mountain in the early 1930s. In addition, he revealed the situation of traditional Buddhism and secularized Buddhism, and the practice of bhikkhuni of Geumgang Mountain. These records showed that Buddhism of Geumgang Mountain existed as a living Buddhism, dispelling the fixed images of temples in Geumgang Mountain. Therefore, Kim Gu-ha's travel records can be said to be important historical sources for understanding the space transformation and Buddhism of Geumgang Mountain in modern period.

한국어

김구하(1872~1965)는 일제 강점기 대본산 통도사의 주지이자 불교계의 지도자로 활동한 인물이다. 김구하는 근대 불교계의 중요 인물이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친일과 항일 행적 논란에 집중되었고, 전 생애와 행적에 대한 구체적이고 종합적 고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김구하에 대한 다각적 연구 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이 글에서는 김구하의 1932년 금강산 여행 기록인 『금강산관상록(金剛山觀賞錄)』에 주목하였다. 김구하가 금강산을 여행한 1932년은 금강산 주변에 철도를 비롯한 관광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근대적 대중관광이 본격화되던 시기였다. 금강산 여 행의 오랜 전통 속에서, 김구하의 여행기는 130여 일에 이르는 장기간의 기록이라는 점, 그리고 근대 불교인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김구하의 기록에는 1930년대 초 금강산의 변화 모습과 금강산 주요 사찰의 양태, 마하연의 중창, 백성욱의 수행결사, 전통불교와 세속화된 불교의 병 존, 금강산 비구니의 수행 등이 담겨있다. 이러한 기록은 일제의 관광정책 으로 대중관광의 일개 코스 전락하거나 박제화된 고대의 유물로 취급받던, 금강산 사찰의 이미지를 불식하고, 생동하는 금강산 불교를 보여준다. 김 구하는 근대 금강산 불교 역사를 엿볼 수 있게 한 중요한 기록자였다고 할 수 있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금강산관상록』과 금강산 여행의 개요
Ⅲ. 김구하가 마주친 ‘모던 금강’
Ⅳ. 1932년 금강산 불교의 장면들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경순 Lee, Kyung-soon.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