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산업별 및 권역별 이산화탄소 발생의 로그평균디비지아지수 분해 분석

원문정보

A Log Mean Divisia Index decomposition analysis of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industry and region

박승규, 장인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dentified the tendency of CO2 emission in energy consumption, cause of climate change, by analyzing the dynamic convergence regression model and decoupling analysis from 2013 to 2019 in regional level. In addition, CO2 emission factors and contribution rates were derived by constructing an temporally and spatially expanded Log Mean Divisia Index(LMDI) model which was expanded in terms of time and space. According to results, firstly, CO2 emissions in total energy use were found to gradually converge, and in particular, CO2 emissions were reduced by the use of renewable energy. Secondly, as a result of decoupling analysis by industry/region to identify environmental changes compared to economic growth,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primary industry were improved compared to economic growth in Honam region. In addition, the degree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secondary industry according to economic growth by region was classified as revealing decoupling occurred in regions except for the Yeongnam region. Thirdly, it was identified that CO2 emissions were reduced through renewable energy, R&D investment, and investment in the environment sector by deriving the determinants of CO2 emissions. Finally, in the case of applying spatial gap, the metropolitan and Yeongnam regions, which have relatively higher economic power, reduced CO2 emissions due to renewable energy, R&D investment, and investment in the environment sector. On the other hand, in Honam and Chunggang regions, which have relatively low economic power, CO2 emissions decreased due to economic growth and population in addition to investment in renewable energy and the environment.

한국어

본 연구는 기후변화를 초래하는 원인으로 고려되는 CO2 배출 변화를 2013년~2019년 시도별 CO2 배출 패널자료를 활용한 동태적수렴회귀모형과 탈동조화 분석으로 지역내 소비 에너지별 CO2 배출 성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기준 및 비교 시점 비교로 CO2 배출 정도가 파악되던 한계를 보완하여 시간적 및 공간적 측면으로 확장된 연차별 및 공간적으로 확장된 LMDI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CO2 배출 발생 요인과 기여율을 도출하였다. 에너지원별 CO2 배출 성향, 산업별/권역별 경제성장 대비 환경적인 개선 정도, 산업별/권역별 CO2 배출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전체 에너지 사용에서 CO2 배출은 점차 수렴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재생에너지의 사용으로 CO2 배출은 경감되는 특성이 파악되었다. 둘째, 수렴분석은 CO2 배출 성향을 제시할 수 있지만 경제성장 대비 환경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산업별/권역별 탈동조화 분석 결과 호남권을 제외한 권역의 경제성장 대비 1차 산업 환경적인 요인이 개선되었다. 더불어, 2차 산업의 경우에는 영남권을 제외한 권역에서 탈동조화 현상이 나타나 권역별 경제성장에 따른 환경적인 개선 정도가 구분되었다. 셋째, 산업별 및 권역별 CO2 배출의 결정요인을 시간적인 측면에서 연차별로 도출함으로써, 재생에너지, 기술개발 R&D 투자, 환경부문 투자로 CO2 배출이 감소되는 특성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공간적인 격차를 활용한 경우에는 경제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도권과 영남권은 재생에너지, R&D 투자, 환경부문 투자에 의해 CO2 배출이 감소하였다. 반면, 경제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호남권과 충강권은 재생에너지 및 환경부문 투자 외에 경제성장과 인구에 의해서도 CO2 배출이 감소하는 특징이 파악되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검토
3. 실증분석
3.1. 분석자료
3.2. 분석모형
3.3. 실증분석 결과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승규 Park, Seungkyu.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역포용발전실 연구위원
  • 장인수 Chang, Insu.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구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