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 고문헌 및 고지도에 나타난 울릉도 지명과 독도 - 『竹島圖說』ㆍ『竹島雜誌』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Geographical Names of Ulleungdo Island and Dokdo Island in Japanese Documents and Ancient Maps – Focused on Takeshima-zusetsu and Takeshima-zasshi –

일본 고문헌 및 고지도에 나타난 울릉도 지명과 독도 - 『죽도도설』ㆍ『죽도잡지』를 중심으로

송휘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geographical names of Ulleungdo and Dokdo appeared in ancient Japanese documents and maps, and to examine how they relate to the current geographical names. Geographical names make it possible to distinguish a place from other places, and the means of conveying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s well, which is a symbolic text containing changes in the local landscape. The items reviewed in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akeshimazu(竹島圖)” drawn by Hachiemon influenced to Kanamori’s “Takeshimazu” that was subsequently produced. However, in this Hachiemon’s 「Takeshimazu」 described the characteristic specified places of Ulleungdo, but no ‘name’ was given. That is, Hachiemon and Kanamori’s 「Takeshimazu」 does not reflect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Oya and Murakawa in the 1600s. In other words, the maps of this line appear to have been independently produced by Hachiemon. Second, 「Takeshima-taigai-zu(竹島大概圖)」(1854) and 「Takeshima-no-zu(竹島之圖)」(1871) produced by Matsuura Takeshiro(松浦武四郞) a Hokkaido explorer reflecte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both of the maps published by Hachiemon and Oya=Murakawa. In other words, it contains the ‘place names’ of both family’s Jukdo Voyage in the 17th century. Based on the information of Kanamori Matsuura, who had a high reputation as a geography compiler, it contains geographical information of Oya and Murakawa together. Third, if you look at these four types of ‘Ulleungdo Jeondo-Whole Map’, no ‘place name’ is given to detailed places of inland at all. This seems to reflect the need for navigation and resource collection (aquatic resources and forest resources) of the party who carried out the ‘Takeshima tokai’. Therefore, the maps described detailed information on rocky islands, beaches, rivers, valleys, and rock walls along the coast of Ulleungdo but does not include any information about on the Nari Basin the inland Ulleungdo. However, the Takeshima-zasshi, compiled three times by Matsuura Takeshiro, were all published in Tokyo, and were written in response to the social demands of the Meiji government at the time, such as the search for territorial expansion and advancement into the continent, which played a role of spreading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n Ulleungdo nationwide.

한국어

본고의 과제는 일본 고문헌 및 고지도에서 나타난 울릉도·독도의 지명을 고찰하여 현재의 지명과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가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지명은 장소를 다른 곳과 구별할 수 있게 하며, 그 지리적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지역 경관의 변화 내용을 담고 있는 기호화된 텍스트이다. 본고에서 검토된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치에몽이 그린 「죽도도(竹島圖)」는 후속으로 제작되는 가나모리의 「죽도도(竹島圖)」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 「죽도도」에서는 울릉도의 세부장소에 그 특징적인 것은 담고 있으나 ‘명칭’은 부여하고 있지 않다. 즉 하치에몽과 가나모리의 「죽도도」는 1600년대 오야·무라카와의 지리적 정보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 다시 말해 이 계통의 지도는 하치에몽에 의해 독자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홋카이도(北海道) 탐험가였던 마츠우라(松浦武四郞)가 그 이후 제작한 「죽도대개도(竹島大概圖)」(1854)와 「죽도지도(竹島之圖)」(1871)는 하치에몽의 지리적 정보와 오야·무라카와의 지리적 정보가 함께 반영되어 있다. 즉 17세기에 도해한 양가의 ‘지명’을 함께 담고 있다. 지리지 편찬자로서 명성이 높았던 마츠우라는 가나모리의 정보를 바탕으로 해서 오야·무라카와의 지리적 정보를 함께 담고 있다. 셋째, 이들 4종의 <울릉도전도>를 보면 내륙의 상세한 장소에 대한 ‘지명’의 부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것은 ‘죽도도해’를 했던 당사자의 항행의 필요와 자원채취(수산자원 및 임산자원)의 필요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울릉도 해안의 바위섬과 해변, 하천, 계곡, 암벽 등에 대해서는 상세한 정보를 제시하는 반면 울릉도 내륙의 나리분지 등의 정보는 담아내고 있지 않다. 그러나 마츠우라(松浦武四郞)가 3차례에 걸쳐 편찬한 󰡔죽도잡지(竹島雜誌)󰡕는 모두 도쿄(東京)에서 발행한 것으로 당시 메이지정부의 영토 확장 및 대륙진출의 모색 등 사회적 요구로부터 집필되었으며, 이후 울릉도에 관한 지리적 정보가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일본어

本稿の課題は、日本の古文書および古地図で表される鬱陵島·独島の地名を考察し、それが現在の地名とどのような関連性を持つかについて検討することである。地名というのは、場所を他の所と区別できるようにし、その地理的情報を伝える手段として地域景観の変化の内容を含む記号化されたテキストといえある。本稿で考察したことを整理すると、次のようになる。 第一に、八右衛門が描いた「竹島図」は後続きで製作される金森健作の「竹島図」に影響を及ぼしている。しかし、この「竹島図」では、鬱陵島の細部場所にその特徴的なものが含まれているものの、「名称」は与えられていない。つまり、八右衛門と金森の「竹島図」は、1600年代の大谷·村川両家の持つ地理的情報を反映していない。言い換えると、この系統の地図は、八右衛門によって独自に製作されたものと考えられる。第二に、北海道探検家として知られる松浦武四郎それ以降製作した「竹島大概図」(1854)と「竹島之図」(1871)は、八右衛門の持つ地理的情報と大谷·村川の地理的情報がともに反映されている。つまり、17世紀に鬱陵島へ渡海した両家の情報による「地名」が含まれている。当時、地理学者として名が高かった松浦の地図では、金森健作の情報をもとに大谷·村川両家による地理的情報をあわせて盛り込まれているといえる。第三に、これら4種の<鬱陵島地図>をみると、内陸の詳細な場所について「地名」の付与は全く行われていない。これは、当時「竹島渡海」をしていた当事者の航行の必要性と資源採取(水産資源および林産資源)の必要性ということが反映されたものとみられる。したがって、鬱陵島沿岸の岩島と海辺、河川、渓谷、岩壁などについては詳細な情報が提示されている反面、鬱陵島内陸の羅里盆地などの情報は全く含まれていない。しかし、松浦武四郎が3回にわたって編纂した󰡔竹島雑誌󰡕は、すべて東京で発行したもので、当時の明治政府における領土拡張および大陸進出の模索などの社会的要求から執筆され、以後鬱陵島に関する地理的情報が日本で全国的に拡散するきっかけとなる。

목차

<요지>
Ⅰ. 머리말
Ⅱ. 에도시대(享保年間)에 제작된 울릉도·독도 지도
Ⅲ. <죽도도설> 및 <죽도잡지> 부속지도에 나타난 울릉도지명
Ⅳ.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송휘영 Song, Hwi-young.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연구교수, 한일관계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