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

전북지역 제철유적의 조사현황과 바람직한 조사방법

원문정보

Survey Situation and Desirable Excavation Method of Iron-making Site in Jeollabuk-do Province

이남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218 iron-making site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eastern part of Jeollabuk-do, and Korea's iron-making archaeology is facing a big break. This is in line with the restorat-ion of Gaya history, which the government promoted, so more detailed investigation and research seem to be needed. Most of the ancient iron-making sites are located in low-flat hills or flatlands, so it is necessary to first examine whether there are any sites with such a location among the iron-making sites in Jeollabuk-do. In some areas in eastern Jeollabuk-do (Muju, Sunchang, Wanju, etc.), it is recorded that there was iron producing area from an early age in the Joseon Dynasty's literature recor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in-depth steelmaking in this era. This is a new research task to be dealt with with special historical awareness as it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socioeconomic history during the Joseon Dynasty. For these ruins, a detailed index survey must be preceded first, followed by a survey study at the level of Catchment Analysis on raw materials(iron ores) and fuels. When it comes to excavation methods, thorough investigation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rational and effective digging methods should be adopted, andcomprehensive and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various data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sufficient iron-related samples should be selected for such a process, an analysis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and desirable analysis results should be derived by convergent analysis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archaeology and metal engineering, and actively used in the analysis of the iron-making site.

한국어

전라북도 동부지역에서 218개소의 제철유적들이 확인되어 한국의 제철고고학 연구는 큰 획기를 맞고 있다. 이는 정부가 추진하였던 가야사 복원과 맞물려 있어 보다 정밀한 조사와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고대의 제철유적들은 저평한 구릉지대나 평지에 소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전라북도지역의 제철유적 가운데 이러한 입지를 갖는 유적이 존재하는지부터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전북 동부의 일부 지역(무주, 순창, 완주 등)은 조선시대 문헌기록에 일찍부터 철산지가 있었음이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시대의 제철에 관해서도 심도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 이는 조선시대 사회경제사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사안인 만큼 각 별한 역사인식하에 다루어져야 할 새로운 연구과제이다. 이들 유적들에 대해서는 먼저 정밀지표조사를 실시하고 원료와 연료에 대한 자 원획득분석(catchment analysis) 차원에서의 조사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발굴방법에 있어서는 철저한 조사의 전략 수립,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굴토방법의 채택, 각종 자료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류와 정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러한 과정에 충분한 제철 관련 시료들을 선별하여 분석전략을 세우고 고고학과 금속 공학 분야 연구자들의 융합적 분석작업에 의해 바람직한 분석결과가 도출되어 유적의 해석에 적극 활용되어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제철유적의 조사현황
3. 바람직한 제철유적 조사방법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남규 Lee Namgyu. 한신대학교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