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신입생의 정서표현성과 발표불안 관계에서 긍정적사고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Positive Thinking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ressivity and Public Speaking Anxiety of University Freshmen’s

김자숙, 김종혁, 박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ressivity and public speaking anxiet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one university freshmen located in Gwangju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146 university freshmen.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level of positive thinking, emotional expressivity, public speaking anxiety. The SPSS WIN 23.0 version program was used with Baron and Kenny's 3-Step mediating effect and Sobel test. It was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thinking on emotional expression and presentation anxiety. In the second stage, emotional expressivit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presentation anxiety. In stage 3, emotional expressiv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sentation anxiety, and positive think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sentation anxiety. Positive thinking had a total mediating effect(z=-4.57, p <.001)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ressivity and public speaking anxiety. To reduce the public speaking anxiety among university freshm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s that enhance positive thinking in addition to providing emotional expressivity.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의 정서표현성과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긍정적사고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광주광역시 일개대학의 신입생 146명을 편의추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3.0 version을 이용하여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절차와 Sobel test를 이용하였다. 정서표현성과 발표불안에서 긍정적사고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2단계에서는 정서표현성이 발표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3단계에서는 정서표현이 발표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긍정사고는 발표불안에 통계적으로 유 의하였다. 따라서 긍정적사고는 정서표현성과 발표불안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Sobel test 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유의하였다(z=-4.57, p<.001). 대학신입생의 발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긍정적사고 를 증진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도구
2.3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2.4 자료 분석
2.5 연구의 제한점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정서표현성, 긍정적사고와 발표불안 정도
3.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표현성, 긍정적사고와 발표불안의 차이
3.4 대상자의 정서표현성, 긍정적사고와 발표불안 간의 상관관계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자숙 Ja-Sook Kim. 군산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김종혁 Jong-Hyuck Kim. 중원대학교 의료뷰티케어학과 조교수
  • 박아영 A-Young Park. 광주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