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발표 1

발화원인으로서 트래킹 현상 오인에 대한 사례 연구

원문정보

A Case Study on the Misconception of Electrical Tracking as a Fire cause

이승훈, 박주희, 김호섭, 유문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en Investigate the cause of a fire, the evidence on the scene is often not completely collected due to the nature of the fire, such as destruction by flame. And even if it remains in the scene,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microscopic evidence such as electrical melting traces in large-scale destruction. The evidence left on the scene has often been difficult to find by fire investigators or often overlooked. In the Case of this study, the fire occurred at a metal cutting workshop located in Seoul was reviewed, the possibility of errors in the development of the fire cause hypothesis performed at the scene was reviewed, and other suitable and new hypotheses were developed for the scene. As the discovery and interpretation of evidence is overlooked, we report this case of a fire investigation error that derives an incorrect fire cause hypothesis, and urge the prevention of recurrence of similar cases in the future.

한국어

화재의 원인을 밝힐 때, 현장의 증거들은 화염에 의한 파괴 등의 화재의 특수성 때 문에 완벽하게 수집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현장에 남아 있더라도, 대규모 파 괴 속에서 전기적 용융흔적과 같은 미시적인 증거를 발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현장 에 남아 있는 증거들은 조사관들에게 발견되기 어렵거나, 해석이 간과되는 경우도 종 종 있었다. 본 연구의 2021. X. X.에 서울 XX 소재의 금속절삭 작업장에서 발생한 화재의 조사 사례를 검토하여 현장에서 수행한 화재원인 가설 전개의 오류 가능성을 검토하고 사 례에 적합한 새로운 가설을 탐색하였다. 증거의 발견과 해석이 간과됨으로서 잘못된 화재원인 가설을 도출하였던 화재조사 오류사례를 보고하면서 추후 유사사례 재발 방 지를 촉구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및 연구의 목적
2. 사례 및 최초 가설
2.1 현장 상황
2.2 현장에서 설정된 화재원인에 대한 가설
3. 현장 상황과 가설의 재검토
3.1 전력량계 배선에 대한 검토
3.2 차단기 트래킹 현상에 의한 전력량계 과전류 가능성 검토
3.3 작업자 상황을 고려한 검토
4. 가설의 검증
5. 결론
6. 후기
7.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승훈 S.H. Lee. 서울경찰청 과학수사과
  • 박주희 J.H. Park. 서울경찰청 과학수사과
  • 김호섭 H.S. Kim. 서울경찰청 과학수사과
  • 유문조 M.J. Yu. 서울경찰청 과학수사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