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제국주의 역사학과 독일 역사교과서의 초국가적 역사 담론을 위한 역할모델로서의 한계

원문정보

Imperialistic Historiography and the Limitation of Germany as a Role model of Transnational narratives in the History Education

김가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s inspired by a recent phenomenon in which national identity is being enforced in terms of socio-political aspects. In the case of Korea and Japan, not only are they being politically far-conservative, but diplomatic conflicts are still a daily affair. In particular, since the Korea-Japan trade dispute broke out in 2018, the economic and diplomatic conflicts between the two countries still deteriorate overall relations. This continuous dispute between the two countries makes matter worse in terms of nationalistic movements, leading to further conflicts in history education. The intense conflicts in history educ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started in 1982 when the Japanese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depicted narratives to justify the expansion of Imperial Japan and the atrocities committed in its colonies. Although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repeated this again in 2021 to remove their war crime in the history textbooks, historians and history educators in Korea and Japan have also made significant efforts to reconcile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found in the history textbooks. However, unfortunately, the conflict still strongly remains; leading to the main question of this paper: is the German history education efforts the best role model for the Korea-Japan case? This study illustrates why the conflict surrounding history textbooks between Korea and Japan is impossible to resolve without the understanding of imperial historiography. In addition, it is explained why this paper does not use the term ‘colonial historiography’ but ‘imperial historiography’ when it mentions the dispute of history textbooks between Korea and Japan. Finally, it analyses the reason German history education is inappropriate as a role model for ‘Historical Reconcili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suggesting the existence of transnational narratives from recent history textbooks.

한국어

본 연구는 오늘날까지 한국과 일본의 역사교과서과 관련한 연구들이 양국 의 역사적 화해를 위한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근본적으로 해결되 고 있지 않음을 깨닫고 현재까지의 선행연구들을 먼저 살펴보도록 하고자한 다. 다음 장에서는 이전 연구를 이어, 과연 한국과 일본의 역사교육 갈등을 독 일의 역사교육과 역사인식을 역할모델로 삼아 해결할 수 있는가 확인하고자 한다. 이전 연구가 한‧일 역사교과서 문제의 그 출발이 제국주의 역사학을 근 원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다시 대외적 갈등과 내부적 경합의 다양한 국면을 파생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한‧일 역사교과서 갈등에 대해 식민사학 의 개념으로 접근을 하지 않고 ‘제국주의적 역사학’이라는 용어로 접근하였던 이유를 서술하지 않아 본고를 빌려 이를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독 일 역사교육이 제국주의 반성과 초국가적(transnational) 역사교육이 ‘역사화 해’의 역할모델로서 부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독일의 역사교육 현장에서 실 제로 사용하고 있는 역사교과서와 독일과 프랑스, 독일과 폴란드의 역사교과 서의 구성과 ‘제국주의’관련 서술을 분석하고자 한다.

목차

Ⅰ. 서론
Ⅱ. 한·일 역사교과서 연구의 현시점
Ⅲ. 제국주의 역사학의 개념과 논리
1. 왜 ‘제국주의 역사학’인가?
2. ‘제국주의 역사학’의 ‘제국주의’에 대한 정의
3. ‘제국주의 역사학’ 개념의 발아와 발달과정
Ⅳ. 자성적 역사인식과 초국가적 역사담론의 시작
1. 독일 자국사 교과서의 이중적 서술
2. 유럽 공동역사교과서의 제국주의 반성과 한계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김가연 Kim, Ga Yeon.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대학원 한국사학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