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9th century peasant revolt was one of the important moments of political and social change in the late Silla and early Goryeo. North Korea regards this as the first peasant war in Korean history and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its historical significance. This article aims at reviewing the description and research history background of North Korean history textbooks. Since the 1950s, North Korean history textbooks define the 9th century peasant revolt as a class struggle developed in medieval feudal society and find its causes in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of a centralized state centered on aristocrats. The basis of this understanding came from Paek Nam-un's study of medieval history in the 1930s. His understanding of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was the common view in North Korean history until the 1950s. With the deepening of research,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medieval history changed, and so was the description of history textbooks to some extent. Accumulation of full-scale research took place in the first half of the1960s, and the results were reflected in the history textbooks published before and after this period. The term peasant war began to be used after the late 1970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Juche idea, and this further emphasized the nature of the class struggle. In the history textbooks of the late 1990s, Jeokgojeok(赤袴賊, red trousered banditti) was highlighted because the class struggle was more emphasized along with the curriculum reform. Meanwhile, in the first half of the 1960s, the point of opening of medieval history was moved up from Unified Silla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which led to the regulation that the Unified Silla period, which was the background of the 9th century peasant revolt, was not an establishment period of a feudal society but a reorganization period.The 9th century peasant revolt achieved the improvement of the people's situation through the reduction of the Bugok(部曲), and the meaning of the Bugok also changed. The Bugok inhabitant developed from a lower class with the character of a serf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a commoner with the character of a serf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he reduction of Bugok was reinterpreted to mean “reorganization of medieval feudal society” in that it meant the cleaning up “the vestiges of slavery and community” after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was the establishment of a view of the 9th century peasant revolt in the long-lasting history of medieval feudal society. North Korea's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on the 9th century peasant revolt is rather difficult to accept from the empirical view in that it is biased toward emphasizing the class struggle. Nevertheless, it is noteworthy that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9th century peasant revolt was viewed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and intended to give mea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ople. It is expected that a point of contact with North Korean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will be developed along with the progress in discussion.
한국어
9세기 농민항쟁은 신라 말⋅고려 초 정치⋅사회 변동의 중요한 계기 중 하 나였다. 특히 북한에서는 한국사 최초의 농민전쟁으로 평가하며 그 역사적 의의를 더욱 중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북한의 역사교과서 서술과 연구사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북한 역사교과서에서는 9세기 농민항쟁을 중세 봉건사 회에서 전개된 계급투쟁으로 규정하고, 그 원인을 귀족 중심의 중앙집권 국 가가 가진 구조적 모순에서 찾고 있다. 이와 같은 이해의 기초는 1930년대 백 남운의 중세사 연구에서 마련되었다. 그의 고대사⋅중세사 이해는 1950년대 까지 북한 역사학계의 통설이었다. 그런데 연구의 심화와 더불어 중세사 이 해가 변모하며 역사교과서 서술도 다소 변화하였다. 본격적인 연구는 1960년 대 전반에 축적되었는데, 이를 전후해 발간된 역사교과서부터 그 성과가 반 영되었다. 그리고 주체사상이 확립되며 1970년대 후반 이후 농민전쟁이란 용 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계급투쟁의 성격을 한층 강조한 것이다. 1990년 대 후반 이후의 역사교과서에서는 적고적이 부각되었는데, 이야기체 서술에 서 계급투쟁의 순수성이 중시된 까닭이었다. 한편 1960년대 전반 중세사의 개막 시점은 통일신라에서 삼국시기로 상향되었는데, 이에 따라 9세기 농민 항쟁의 배경이었던 통일신라 시기는 봉건사회 성립기가 아닌 재편기로 규정 되었다. 9세기 농민항쟁은 부곡의 축소를 통해 인민 처지의 개선이란 성과를 얻었다고 하였는데, 부곡의 의미도 변화하였다. 부곡민은 삼국시기의 농노적 천민에서 통일신라시기 농노적 양민으로 성장하였다고 하였고, 부곡의 축소 는 삼국시기 이후 “노예제적, 공동체적 잔재” 청산이란 의미를 가졌던 데서 ‘중세 봉건사회 재편’이란 의미를 갖는 것으로 재해석하였다. 장기 지속된 중 세 봉건사회사 속에서 9세기 농민항쟁을 바라보는 시각이 정착된 것이다. 9 세기 농민항쟁에 대한 북한의 역사학⋅역사교육은 계급투쟁을 강조하는 데 치우쳐 실증의 측면에서 그대로 수용하기 어려운 점이 적지 않다. 다만 9세기 농민항쟁의 배경과 전개과정을 거시적인 시야에서 조망하고 민의 시각에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앞으로 논의의 진전과 아울러 북한 역사학⋅역사교육과 대화의 접점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Ⅱ. 역사교과서 서술의 기조와 기원
Ⅲ. 농민항쟁 연구의 심화와 서술의 변화
Ⅳ. 중세사 이해와 농민항쟁 의미의 변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