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1 : 제6차 교육과정기 역사교육과 국사교과서

제6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의 개편과정과 현대사 서술의 특징

원문정보

The curriculum reform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cription of modern history in Korean history textbooks of the sixth curriculum period

유상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proces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of the sixth curriculum period and the description of modern history, especially of the high school textbook Korean History (2nd vol.) of the same curriculum period. The sixth curriculum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was the very first textbook curriculum revision after democratization, and was a curriculum for Korea to prepare for the 21st century. In addition, this curriculum was revised while a new civilian government was taking office after the military dictatorship had ended,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education that no longer imparted legitimacy to the dictatorship. The Korean history textbook, however, bucked this major trend of curriculum reform. Due to negative media coverage of the news that the previously independent Korean history subject would be integrated in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would become an optional subject, extra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Korean history curriculum. The press, which was opposed to the planned direction of the revision, also contributed to half-revised textbooks being written, in which the key themes inherited from the previous textbook - 'our nation' or 'anti-communism' – had been maintained. There were, however, some positive outcomes in the reform of Korean history textbooks of the sixth curriculum period as well. Despite the opposition from the media, attempts were made to change some historical points of view about modern Korean history by rectifying some historical terms: the Yeosu·Suncheon insurrection was corrected to the October 19th Yeosu·Suncheon incident; the April 19th movement to the April 19th revolution; the May 16th military revolution to the May 16th political upheaval. The followings are also noteworthy: the attempt to view Korea in the context of world history reflecting the trend of globalization while overcoming the existing ethnic-oriented narrative; and the attempt to broaden the perspectives on some events by dealing with their context and influence, beyond a previous simple enumeration of facts.

한국어

이 글은 제6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의 개편과정과 고등학교 『국사(하)』 현대사 서술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본 글이다. 제6차 교육과정은 민주화 이후 교과과정의 첫 개정으로 21세기를 맞이하는 한국에서 이를 대비하는 교과과 정이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고 있다. 또한 군부의 독재가 종식되고 문민 정부가 들어서면서 개정되는 교과과정으로 교육이 정권의 ‘정당성을 부여하 는 역할’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였다. 국사는 이런 교과과정 개정의 큰 흐름과는 다른 상황을 맞이하였다. 독립교 과로 분리되어 있던 국사가 일반사회에 통합되며 선택과목으로 전환된다는 소식이 알려지게 되면서 이에 반대하는 언론의 질타로 국사과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 개편방향에 대해서도 언론의 반발로 기존의 국사교과서에서 이 어져 온 ‘우리 민족’, ‘반공’이 그대로 유지되는 반쪽짜리 교과서가 집필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제6차 교육과정기의 국사교과서가 기존의 답습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언론의 반발에 직면했지만 역사용어 중 여수ㆍ순천 반란사건 을 여수ㆍ순천 10·19사건으로 4·19의거를 4·19혁명으로 5·16군사혁명을 5·16 군사정변으로 수정하며 현대사부분의 역사상을 바꾸려는 노력이 포함되었다. 서술에 있어서도 기존 민족 위주의 서술에서 세계화의 조류를 반영하며 세계사 속에서 한국을 바라보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또한 사실의 나열을 넘어 사건의 영향을 비중있게 서술하면서 해당 사건에 대한 시각을 넓히려는 시도는 주목할 만한 것이었다.

목차

Ⅰ. 머리말
Ⅱ.‘우리 민족’과 ‘반공’에 사로잡힌 제6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 개편과정
Ⅲ. 『국사(하)』교과서 서술체계의 변화와 그 특성
Ⅳ. 『국사(하)』교과서 중 현대사 서술내용의 변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유상수 Ryu, Sang-Soo. 여순사건위원회 조사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