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혁신적 제품의 창의성 수준과 체계적 아이디어 발상법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Level of Creativity of Innovative Products and Systematic Inventive Thinking

연주한, 한승준, 배기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creativity level of products recognized for innovativeness was evaluated, and the thinking tools applied to the evaluated product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ity level and the applied thinking tools. As for the evaluation and analysis method, the creativity level was evaluated through the ICA evaluation for 222 products evaluated as global innovative products. And creative thinking tools applied to creativity factors were analyzed through 11 thinking tools of SIT and BCC. As a result, innovative products were classified into creative, original, practical, and redeveloped products according to originality and practicality factors. In addition, creative thinking tools applied to innovative products were derived, and the level of creativity of each thinking tool was revealed. Based on these results, an effective process was proposed for companies to enhance product creativit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new product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혁신성을 인정받은 제품의 창의성 수준을 평가하고, 평가된 제품에 적용된 사 고도구를 분석하여 창의성 수준과 적용된 사고도구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평가 및 분석방법은 세계적으로 혁신적 제품이라고 평가받는 222개 제품을 대상으로 ICA평가를 통하여 창의성 수 준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SIT, BCC 11가지 사고도구들을 통하여 창의성 요소들에 적용된 창의 적 사고도구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혁신적 제품들은 독창성과 실용성 요소를 기준으로 창의 적, 독창적, 실용적 그리고 재개발 제품들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혁신적 제품들에 적용된 창의적 사고도구들이 도출되었으며 사고도구 각각의 창의성 수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기업들이 신제품 개발과정에서 제품의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론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연주한 Yeon, Ju Han. 충북대학교 바이오미래융합기술경영학과 교수
  • 한승준 Han Seung jun. 충북대학교 융합기술경영혁신센터 연구원
  • 배기수 Khee-Su Bae. 충북대학교 경영학부 정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박영택(2016), “박영택 창의발상론”, 한국표준협회미디어.
  • 2박진영, 박영택(2017), “신제품 디자인 콘셉트에 내재된 비즈니스창의성코드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지」, 제12권 제3호, pp. 310-332.
  • 3여형석, 김중현, 이준영, 박영택(2017), “신제품 콘셉트 발상을 위한 SIT&BCC 활용에 관한 연구”, 「산업디자인학연구」, 제11권 제3호, pp. 11-21.
  • 4연주한, 도성정(2019), “의료기기 분야의 아이디어 발상원리 및 효용성에 관한 연구: IDEA Medical & Health 입상작을 중심으로”, 「한국창업학회지」, 제14권 제4호, pp. 120-141.
  • 5연주한, 박영택(2017), “해외 아이디어 상품들의 내재된 발명적 사고원리와 창의성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지」, 제12권 제1호, pp. 167-192.
  • 6연주한, 장승환(2021), “통합적 창의성 분석 도구와 창의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지」, 제16권 제2호, pp. 1-14.
  • 7Amabile, T. M.(1982),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3, No.5, pp. 997-1013.
  • 8Boyd, D. & Goldenberg, J.(2013), "Inside the Box: A Proven System of Creativity for Breakthrough Results", Simon & Shuster.
  • 9Dean, T., Griffith, D. A., & Calantone, R. J.(2016), "New product creativity: Understanding contract specificity in new product introduc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80, No.2, pp. 39-58.
  • 10Finke, R. A.(2014), "Creative imagery: Discoveries and inventions in visualization", Psychology press.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