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최근 ESG가 경영의 핵심 활동으로 자리 잡은 것에 주목하였다. 그간 ESG 연구는 투자나, 재무 분야 등에 초점을 두고 있어, 소비자나 공중의 측면에서 ESG 효과를 살펴본 경우는 드물었다. 즉, 무형자산 으로써의 ESG에 대한 실증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ESG 활동의 효과를 실증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기업의 ESG 활동이 기업명성에 미치는 영향과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했다. 기존의 CSR 등 기업 활동에 관한 연구와 관련 변수를 고찰하여 ESG 활동과 기업명성 간 의 구조적 관계를 정립하고자 했다. 특히, CSR 분야에서 그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진정성과 적합성이 주요 변수라는 것을 ESG 활동에 적용하여 그 역할을 살펴보고자 했다. 또한, ESG 활동을 하는 것과 그 활동의 우수성은 차별적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ESG 변수를 이행 변수와 평가 변수로 나누어 구성하여 이들 변수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최근 사기업뿐만 아니라 공기업도 ESG를 고려한 경영 활동 을 이어가는 현상을 착안하여 국내 대기업과 공기업을 비교해 보고자 했다. 연구를 위해 국·내외 기관의 ESG 평가와 언론보도 등을 참고해 대기업 2곳과 공기업 2곳을 선정하였으며, 전국적으로 패널을 보유한 조 사전문 업체에 의뢰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72명의 유효한 표본을 수집하였고, SPSS 26.0 과 AMOS 23.0을 활용해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이 단순히 ESG를 이행한다고 하여 공중이 그 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사회(S)와 지배구조(G)를 이행 하는 것은 기업명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환경(E)의 경우 그렇지 않았다. 둘째, ESG의 구성요소 중 사회(S)의 경우 진정성과 적합성 모두와 긍정적 인과관계가 확인된 반면, 환경(E)의 경우 적합성과의 인과관 계만 유의미했으며, 지배구조(G)의 경우 진정성과의 긍정적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셋째, ESG 진정성과 적 합성은 ESG 활동 평가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ESG 활동 평가는 기업명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 쳤다. 넷째, ESG 이행 인식이 ESG 활동 평가에 미치는 간접효과와 기업명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확인되었 다. 이는 ESG 활동에 있어서 진정성과 적합성이 중요한 요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 활동에 따라 그 효과가 차별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어떠한 활동이냐에 따라 고려해야 할 요소가 다르다는 것이 확인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업형태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즉, 기업의 형태를 고려해 ESG를 기획 하고 실행해야 할 필요성이 입증된 것이다. 본 연구는 ESG 활동이 기업명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구조적 관 계를 파악했다. 이는 그동안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한 공중, 소비자 측면에서의 ESG 효과를 실증한 것으로 무형자산으로써 기업 활동 관련 연구에 기여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이 ESG을 실행하는 과정에 서 고려해야 할 요소와 전략적 방안과 향후 ESG 연구의 방향성과 필요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