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대적 의미의 조선 문화ㆍ예술

원문정보

Making Chosun CultureㆍArt as a modern sense

정수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ntends to reconstruct that context the representative of Korean Culture and Art constituted. It is connected to National Cultural Asset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Cultural Asset Protection Policy. In this paper I focus on that ‘Culture’, ‘Art’ are basically western concept, and since the colonial period when that concept was received in Korea. In Chosun, ‘Culture’, ‘Art’, as modern concept, was received through Japan and China, western priests. The central agents are the intellectuals who had tried to construct individual and collective identity, as they thought the political restriction and possibility of those days. They focused on the representative of Korean Culture and Art with their political, intellectual interests. But their interests were drawn to orientalism, artifacts as commodity in market economy, Japanese colonial policy with korean culture. Ancient architectures and visible(and invisible) treasures got rid off their old meanings or values, and incorporated in the public sphere as the representative of Korean Culture and Art. That procedure shows one site of modernization in korea. And that procedure was drawn to common belief of various agents, they had tried to construct and concentrate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a modern state.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예술이 어떠한 사회적 맥락을 따라 성립되었는가를 살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예술은 현재 문화재, 혹은 무형문화재라는 이름의 국가적 보호 대상으로 연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이 기본적으로 서구적 개념이며, 이 개념이 한국에 유입된 것은 제국주의의 소용돌이 속에서 서구 지식을 수용했던 식민지 시대 이후였다는 시각을 전제한다. 메이지 시대 서구의 지식 체계를 번역수용하는 데 열광적이었던 일본을 통해, 중국과 서양 선교사들을 통해 근대적 개념으로서 문화, 예술 개념이 조선으로 유입되었다. 물론 가장 선두에서 이러한 개념을 받아들였던 사람들은 식민지라는 시대적 제약과 가능성을 동시에 체화하면서 개인적이고도 집단적인 정체성을 구성하고자 했던 지식인들이었다. 이들은 정치적지적 관심을 바탕으로 조선의 대표적인 문화예술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 배경에는 동양 예술에 대한 서구인들의 관심, 재화로서의 예술품, 식민지 문화예술에 대한 총독부 정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고적과 보물 등으로 대표되었던 조선의 예술이 공적인 의미를 부여받기 시작하는 과정은 그 대상들이 지니고 있었던 전통적 가치들을 탈각시키고, 근대적 문화예술의 영역 속에 배타적으로 편입하게 되는 변동의 한 측면을 반영한다. 그리고 그 과정은 민족주의와 제국주의 간의 구별을 넘어서서 각각의 담론 주체들이 공유하고 있었던, 민족의 문화적 상징을 창출하고 집중화시킬 필요성에 대한 ‘집단적 믿음’을 전제한다.

목차

국문요약
 I. 들어가는 글
 II. 조선의 '문화'
 III. 전시ㆍ보전되어야 할 조선의 예술
  1. 예술품의 수집과 전시
  2. 조선예술의 보존
 IV. 맺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수진 Su-jin Jung.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