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Festival Experience Attributes on Festival Satisfaction, Existential Authenticity and Subjective Well-being
초록
영어
Since the pandemic of COVID-19, digital transformation has been necessary as a survival strategy at festivals, which are the core tourism industry. COVID-19 has prevented movement. Online festivals have been new alternatives. Unlike existing festivals, online festivals have the characteristic that can be held without restrictions on location.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festivals have not been verified. The influence relationships empirically verified in the festival prior research need to be applied to the online festival. Clarifying whether online festivals also have festival attributes is an early study to promote hybrid festivals in the future. In this study, a total of 390 data were extracted by conducting a survey of participants at the 2020 online festival. The hypothesis was tested through path analysi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Research results that playfulness, togetherness, and placeness among the festival experience attributes have a positive effect on festival satisfaction. Sacredness and together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existential authenticity. Festival satisfaction and existential authenticity had a positive impact on subjective well-being. The online festivals confirm that tourists' existential authenticity, festival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can be improved.
한국어
COVID-19 발생 이후 핵심 관광산업인 축제에서 생존 전략으로 디지털 트랜스포 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이 필요하다. COVID-19로 인해 이동 제약이 높 아져, 대면으로 개최하는 축제의 경우 새로운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온라인 축제는 기존 축제와 달리 장소 제한 없이 개최가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하지만 온라인 축제 의 실효성이 검증되지 않았으며, 기존 축제연구에서 실증적으로 검증된 영향 관계를 온라인 축제에 적용시킬 필요가 있다. 온라인 축제에도 축제다움이 있는지 밝히는 것 은 향후 하이브리드형 축제를 나아가기 위한 초기 연구로써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2020년 온라인 축제 참가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90부의 데이터를 추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델(SEM)을 통해 경로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축제 체험 속성 중 유희성, 대동성, 장소성이 축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성성과 대동성이 실존적 진정성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쳤다. 축제 만족과 실존적 진정성은 주관적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 관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나 온라인 축제를 통해 참여자의 실존적 진성성과, 축제 만족 그리고 주관 적 웰빙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축제분야 이해관계자와 관 광정책 입안자들에게 온라인 축제의 실효성을 제공하였으며, 향후 하이브리드형 축제, 메타버스 축제를 기대한다.
목차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