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예와 디지털 융합의 가치 탐색

원문정보

The Value of Fusion of Seoye and Digital

손한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world is actively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due to this need, cor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developing rapidly. Correspondingly, the center of modern people's daily life is gradually shifting from analog to digital, and digital occupies a large part of lifestyle such as work, life, and hobbies. Against this background, a number of studies on digital convergence as a future growth engine have been published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that require relatively public attention. However, since related research was not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calligraphy, it focused on calligraphy and digital convergence, divided into two areas: calligraphy culture and calligraphy education, and examined precedents and explored effects and values. Recently, the number of alcohol drinkers has decreased sharply in culture, which has been hit hard. Accordingly, cultural projects using digital are increasing as a long-term development engine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fields, and various related institutions and academia are also actively seeking to utilize digital technology. Calligraphy also has a case of using digital technology. In terms of exhibition culture, VR technology and online platforms have been used to view exhibitions through electronic devices without time and space restrictions, and it is helpful to supplement on-site exhibitions, keep records of exhibition works and exhibition plans, and increase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In addition, calligraphy-related applications are being made, and their development is high, so there are many similarities to real calligraphy, and realistic VR calligraphy contents are also interested in China and Japan. Calligraphy education has traditionally been conducted mainly in face-to-face, but it must gradually evolve and develop. It is necessary to seek the use of digital for better calligraphy educa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practical art field is also effective in online learning. China and Japan have already conducted related research.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 stance, in theoretical education, it is possible to think about mixed education and reverse learning, and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use of new media to improve learning effects.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many tasks and limitations in promoting the convergence of calligraphy and digital. There is no centroid to promote digital technology convergence, and follow-up research, collaboration with variou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nd cooperation are required. The convergence of calligraphy and digital is not a fundamental solution to promote Korean calligraphy,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alligraphy culture of ordinary citizens, and revitalize overall calligraphy education, but it will play a major role in finding a fundamental solution only when a lot of interest and positive perception is underlying.

한국어

오늘날 전세계는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이 같은 필요에 의해 4차 산업 혁명 핵심기술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여 현대인의 일상생활이 점차 아날 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되고 있으며 근무, 생활, 취미 등 생활양식의 많은 부분을 디지털이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대중들의 관심이 필요한 문화예술 분야는 미래의 성장동력 으로서 디지털 융합에 관한 요구가 높아졌고, 그 연구 또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전통예술 에 해당하는 서예 분야는 상대적으로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예와 디지털 융합에 주목하고 ‘서예문화’와 ‘서예교육’, 두 분야로 나누어 선행사례 를 통해 융합의 효과 및 가치를 탐색하였다. 최근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공연과 전시행사 등 문화예술의 향유공간이 급격히 줄어 들어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이에 문화·예술 분야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디지털을 활용 한 문화사업을 증대하였고, 여러 유관기관 및 학계 또한 디지털 기술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서예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사례가 있다. 전시문화에 있어 VR 기술과 온 라인 플랫폼을 활용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전자기기를 통해 전시를 관람할 수 있게 되 었다. 이러한 추세는 현장전시를 보완, 전시 작품과 전시 기획에 대한 기록 보관, 관객과의 소통 증대하는 차원에서 도움이 된다. 이 외에도 여가 선용에 적합한 서예 애플리케이션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그 발전정도가 높아 현실 서예와 유사한 부분이 많다. 아울러 실감형 VR 서예 콘텐츠 또한 중국과 일본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서예교육은 전통적으로 대면 위주로 진행되어 왔으나 시대흐름에 맞추어 점차 진화· 발전하고 있는 양상이다. 즉, 보다 나은 양질의 서예교육을 위해 디지털 활용이 요구되는 상 황이며, 실기 위주 미술 분야의 온라인 학습의 효과가 이미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특히 중국과 일본은 관련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참고하면, 기존의 전통적 대면 교육 기조를 유 지하되 이론 교육에 있어서는 온라인 교육을 병행하는 혼합형 교육과 거꾸로 학습을 추진할 수 있으며, 학습 효과 제고를 위한 뉴미디어 매체의 활용 또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만 서예와 디지털의 융합을 도모하는 데 많은 향후과제와 한계점이 존재한다. 디지 털 융합을 도모할 구심점이 부재한 실정이며, 후속 연구와 여러 기관 및 단체와의 협업·공조 가 요구된다. 서예와 디지털의 융합은 한국 서예의 진흥과 일반 시민들의 서예문화에 대한 이해 제고, 전반적인 서예교육 활성화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나, 서예에 대한 많은 관심과 긍정적 인식이 밑바탕에 형성되어야 그 해결책을 강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역할이 될 것이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서예문화 분야
Ⅲ. 서예교육 분야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손한빈 Son, Han Bim.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글로벌파인아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