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송대 민가건축 처마의 변용과 심미적 특성

원문정보

The Transformation of Eaves and Architectural Aesthetics in the Song dynasty

백소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the various transformed eaves seen at private building images on Song dynasty paintings, this study analyzes their types and their regulation and aesthetic background.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Song dynasty was more open compared to the Tang dynasty, and the city space also became more open as the walls surrounding the city block’s disappearing. These led to the revision of the Yeongseonryeong(營繕令), the building regulation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The plane could be bent and the layout could be expanded. But the revision was not enough. It was sltll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to make eaves and openings on the side of the building. They still could not get the sufficient depth of eave and over 5 purins 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The people improved the usability by changing the roof eaves in various ways. The types of eaves transformation can be divided into five types: Incheom(引檐), which extends the end of the eaves by adding temporary eaves, Sanmeyonpicheom(山面披檐), which add a temporary roof on the side, Gyeongcheom(擎檐), which is erected to support the roof edges, Panelcheom(板檐), which replaces the roof tiles with wooden planks and Daeliu(對霤), which joins the eaves of two houses together. These transformation methods not only improved the practicality of architecture, but also brought changes in the aesthetics of architecture. They pursuit a “beautiful but not over regulated(美不逾制)” and “beautiful and also functional(美于觀而便于事)”.building in the Architectural aesthetics.

한국어

본 연구는 송대 회화 속 주택, 점포, 작방, 누정 등 민가들에서 보이는 다양하고 자유로운 처마의 변용에 주목하여, 이들의 유형을 나누어 구법, 용도, 특징을 분석하고 출현 배경과 심미적 특징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현존 문헌, 회화 등의 사료들을 통해 바라본 송나라의 사회적 분위기는 당나라에 비해 개방적이었고 성시 공간 또한 방(坊)을 둘러싼 벽이 사라지면서 개방적으로 변하였다. 이는 자연스럽게 건축에도 영향을 미쳐 신분에 따른 건축규제인 영선령(營繕令)의 개정을 가져왔는데, 개정된 영선령은 이전 당대의 영선령과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정면 칸수에 대한 규제와 건물 두 동을 직각으로 연결하는 축심사(軸心舍)에 대한 규제 등이 삭제되면서 민가들의 배치형태가 당대의 경직된 합원식(合院式) 배치를 벗어나 다양화되었다. 문제는 건축의 평면은 자유롭게 꺾이고 확장이 가능해졌지만, 평면을 덮는 지붕의 형식은 여전히 영선령을 통해 규제되었다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인들은 우진각지붕이나 팔작지붕을 쓸 수 없어 건물 측면에 처마와 개구부를 내기 어려웠고, 출목공포와 부연의 사용이 제한되어 차양을 위한 충분한 처마 깊이를 확보하기 어려웠으며, 서민의 경우 집의 단면구조가 5량가로 제한되어 충분히 깊은 실내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등 건축의 실사용 측면에서 다양한 문제에 당면하였다. 이에 송나라 백성들은 영선령의 명문(明文) 규제를 피해 다양한 방식으로 지붕 처마부분을 변용(變用)하여 지붕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처마와 건물의 깊이를 더하는 등의 건물의 사용성을 제고하였다. 처마부분 변용의 유형을 나누면 가설처마를 덧대어 처마 끝을 연장하는 인첨(引檐), 맞배지붕 건물 측면에 눈썹지붕을 덧다는 산면피첨(山面披檐), 지나치게 깊게 만든 처마를 지지하거나 발을 달기 위해 가설하는 경첨(擎檐), 나무판자로 기와를 대체하는 판첨(板檐), 두 집의 처마를 맞대어 결합하는 대류(對霤) 등의 수법이 있다. 이러한 변용수법들은 단순히 건축의 실용성을 제고하는데 그치지 않고, 건축의 조형미, 실내 공간구획과 의장, 외부경관 감상 등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용은 송대 민가건축 전반에 자리 잡은 규제를 위반하지 않으면서도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미불유제(美不逾制)”와 미관과 실용을 동시에 추구하는 “미우관이편우사(美于觀而便于事)”의 심미적 경향을 보여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논문구성 및 연구방법
Ⅱ. 本論
1. 인첨(引檐)
2. 산면피첨(山面披檐)
3. 경첨(擎檐)
4. 판첨(板檐)
5. 대류(對霤)
6. 처마 변용으로 본 송대 민가건축의 심미적 특성
Ⅲ.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백소훈 Baik, So Hun. 명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