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퇴계 이황 산수 시에 나타난 기상론(氣象論)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heory of The moral spirit appeared in the Sansoucci(nature poem) by Toegye Lee Hwang

김종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theory of the moral spirit, which appeared in Toegye Yi Hwang's Sansoucci(nature poem), based on the concept of his philosophy,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of the Song Dynasty Confucian scholars. In general, the meaning of qi-xiang (氣象) means that the concept of qi, which represents the movement of nature and changes in energy, etc. is revealed in a concrete form[象]. As the contents were transmitted to the Joseon Dynasty, they had a great influence on Toegye's though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how the thought of the moral spirit claimed by Song Confucian scholars is revealed in Toegye Yi Hwang's thought, and based on this, attempts to identif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is arithmetic poetry. Although studies on Toegye's sansu poetry and personality aesthetic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here are few studies that discuss his Sansu poetry in terms of the moral spirit as in this paper. In particular, many existing studies tend to focus on the analysis of phrases and characters appearing in works. However, in order to grasp the precise meaning of thi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deological system that is the basis of the work. Research in the past has focused on arithmetic literature based on the retreat of Toegye and the experience of arithmetic, so research on the fundamental ideas and aesthetics related to the creation of Sansu poetry has not been conducted relatively actively. Therefore, this study will discuss the theory of moral spirit from the three perspectives of philosophy, ethics, and aesthetics based on the analysis of Toegye's thought and Sansu poetry.

한국어

본 논문은 송대 유학자들의 화두 중 하나인 기상론(氣象論)의 개념을 바탕으로 퇴계 이황의 산수시에 나타난 기상론의 함의에 대해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일반 적으로 기상(氣象)이라는 의미는 자연의 운행과 기운의 변화 등을 나타내는 기(氣)의 개념이 구체적인 형상[象]으로 드러남을 뜻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윤리·도덕적 차원 으로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이런 점에 대해서는􋺷근사록(近思錄)􋺸·􋺷심경부주(心經附註) 􋺸 등과 같은 송대 문헌들에서 상세히 확인해볼 수 있으며, 해당 내용은 조선으로 전해 지면서 퇴계의 사상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에 본 고는 송대 유학자들이 주 장한 기상론적 사유가 퇴계 이황의 사상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그의 산수시에 나타난 미학적 특징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퇴계의 산수시와 인격 미학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본 고와 같이 그의 산수시를 기상 론의 측면에서 논한 연구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작품에 나타난 어구나 인물 분석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의미를 파 악하기 위해서는 작품의 근간이 되는 사상적 체계를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그동안의 연구는 퇴계의 은거와 산수의 체험을 바탕으로 산수 문학에 집중적으로 초점을 맞추어 져 있기에 산수시 창작과 관련된 근본 사상과 미학적인 부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 로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퇴계의 사상과 산수시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기상론을 철학·윤리·미학의 세 가지 관점에서 논하도록 하겠다. 본 논 고를 통해 퇴계 산수시에서 기상론이 가지는 역할과 위상을 파악하고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퇴계 문예관의 수양론적 의의와 근본 가치를 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 라 기대되는 바이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Ⅱ. 氣象論의 철학적 함의
Ⅲ. 氣象論의 윤리적 함의
Ⅳ. 氣象論의 미학적 함의
Ⅴ.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백 Kim, Jong Baek.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 문화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