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르페브르의 사회적 공간이론으로 바라본 고려인 마을 공간성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patiality of Goryein Village viewed through Lefebvre’s Social Space Theory

주현정, 오종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spatial meaning of Goryeoin Village in G Metropolitan City with Lefebvre's social space theory.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is Lefebvre's concept of social space? Second, how is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Goryeoin village space in G Metropolitan City? Third, what is the spatial meaning of Goryeoin Village in G Metropolitan City through Lefebvre's social space theory? For this purpose, based on hermeneutic research, Lefebvre's analysis of social space theory and case study method were used. As a result, the Goryeoin village space can be presented with three spatial characteristics. First, it is a multi-ethnic village community space as a spatial practice. Second, it is a cultural and artistic urban regeneration space as a spatial reproduction. Third, it is a historical and educational experience space as a reproduction spac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orizing the social practice of various immigrant spaces in korea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르페브르의 사회적 공간이론으로 G광역시 고려인 마을의 공간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 정하였다. 첫째, 르페브르의 사회적 공간개념은 무엇인가? 둘째, G광역시 고려인 마 을 공간의 형성과정은 어떠한가? 셋째, 르페브르의 사회적 공간이론을 통해 본 G광역 시 고려인 마을의 공간적 의미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해석학적 연구에 기반하여 르 페브르의 사회적 공간이론 분석과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고려인 마을 공간은 크게 세 가지 공간성으로 제시될 수 있다. 첫째, 공간적 실천으로서 다민족 마을 공동체 공간이다. 둘째, 공간재현으로서 문화·예술적 도시재생 공간이다. 셋째, 재현공간으로서 역사·교육적 체험공간이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 다양한 이민자 공간 의 사회적 실천을 이론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르페브르의 사회적 공간 이론
1. 사회적 공간 개념
2. 공간생산의 삼중성
Ⅲ. 고려인 마을 형성과정의 이해
1. 고려인 역사의 이해
2. G광역시 고려인 마을 형성과정의 이해
V. G광역시 고려인 마을의 공간성
1. 공간적 실천으로서의 공간성: 다민족 마을 공동체 공간
2. 공간재현으로서의 공간성: 문화·예술적 도시재생 공간
3. 재현공간으로서의 공간성: 역사·교육적 체험공간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주현정 Ju, Hyun Jung.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BK21 플로리싱 교육 전문가 양성 교육연구단, 학술연구교수
  • 오종현 Oh, Jong Hyun.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