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60년대 긴장완화 형성과 전개 : 동방정책을 사례로

원문정보

The Building and development of Detente in 1960's - the case of Ostpolitik

이종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s explain the building and development of detente , which continue to be debated to 60~70’s of the Europe in the International Politics. Amidst the Cold war, West Germany had no alternative to security through Western. At the same time Division of Germany became a prerequisite for the Western’s guarantee. Detente as an analytical concept used detente as policy and process, which two level of analysis: international and the domestic system. This approach addresses the difficult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detente in 60~70’s The heart of Ostpolitik which was systematic combination of policy towards soviet, East Germany was the settling of relations between the two German states. Willy Brandt had declared the slogan change through rapprochement which developed by Egon Bahr in the 60’s. His policy was an attempt to pass from a regulated coexistence to mutual cooperation. In the result, The Sufficient conditions and necessary conditions of West Germany Detente policy was eroded the factor of stability the cold war system.

한국어

전후 냉전질서는 1960년대에 접어들어 새로운 변화의 국면에 접어들었다. 분단국가 서독은 냉전기의 ‘서방정책’을 기본으로 냉전 ‘규범’의 범위를 점차 변화시켜 긴장완화라는 새로운 변화요인을 통하여 ‘정상화와 화해’의 방향으로 정책을 전개하였다. 아데나우워 정권의 권력정치의 유산을 교훈으로, 빌리 브란트는 분단국의 목표인 분단 극복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긴장완화 정책을 전개하였다. 그는 ‘접근과 변화’라는 신동방정책의 정책의 이념을 바탕으로 소련과 동유럽 여러 국가와 적극적인 신뢰구축을 행하면서, 유럽의 평화질서를 구축하려고 노력하였다. 그 결과 서독 긴장완화의 충분조건과 필요조건은 냉전시스템의 안정요인을 침식시켜나갔다.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1. 문제관심
  2. 연구동향
 II. 긴장완화의 의미와 분석용어
  1. 긴장완화의 의미
  2. 분석용어 : 정책과 과정으로서의 긴장완화
 III. 긴장완화의 형성
  1. 아데나우워 이후의 외교정책
  2. 대연립 정권의 동방정책
  3. 대연립 정권의 통일정책
 IV. 냉전규범의 침식 - 신동방정책의 전개
  1. 새로운 시작
  2. 전환점 1969년
  3. 모스크바 조약
 V. 맺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종국 Lee Jong-Guk. 도쿄대학 객원연구원, 정치학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