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후백제역사문화권 정립과 추진 방향

원문정보

Legal Status and Development Plan for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진정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al Act on the Mainten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which was enacted in 2020 and revised in 2021,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law is applicabl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The main discussion of the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revising the Special Act and on determining whether the detailed plan of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corresponds to the standards provided by the act. The discussion will be followed by the presentation of various directions and measures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Later Baekje existed for just 45 years, during which time it assumed a definite attitude as the successor to Baekje while struggling to remain a unified country with a well-defined identity. In its early phase, Later Baekje showe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a military regime formed by a coalition of powerful local warlords, but it gradually developed into a kingdom ruled by a powerful monarch and a centralized government, thus exhibiting the general trend of development shown by its predecessor, Baekje. The territory of Later Baekje vari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but in its heyday the kingdom encompassed present-day Jeolla-do, a part of Chungcheong-do, the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and the western part of Gyeongsangnam-do. The archaeological sites scattered across the area once occupied by Later Baekje have produced a variety of artifacts and archaeological features dating back to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including Buddhist statues and stone pagodas from Baekje that display the cultural influence of Later Baekje, which persisted around the area even after the kingdom’s fall. These archaeological remains, together with the social and philosophical heritage of Later Baekje, which aspired to overcome the existing order of the transitional period and establish a new order, are regarded as clear evidence that Later Baekje deserves far more attention from historians regarding its significance in Korean history.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corresponds to the standards set by the Special Act on the Mainten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and value make it a perfect candidate for designation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to be promoted and preserved by the Korean government according to the Special Act. Despite that, special legal status cannot be accorded to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on the principle of appropriateness or reasonableness alone. Rather, it is the activities of the consultative bodies operated by the local administrations of the provinces, cities and counties located in the territory of Later Baekje that are most important. Therefore, local governments and their consultative bodies should focus their activities on raising public awareness about the history and culture of Later Baekje and shedding new light on its heritage. One priority among these activities should be to designate Jeonju as a Ancient City according to the Special Act on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Ancient Cities. The efforts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be combined with those of organizations from the academic milieu and civil society that are devoted to discovering and propagat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Later Baekje across society.

한국어

이 논문은 2020년 제정되고 2021년 개정된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에 후백제역사문화권이 포함될 수 있는가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역사문화권정비법의 제·개정 과정을 살펴보고, 후백제역사문화권이 법이 정하는 역사문화권에 부합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여기에 덧붙여, 후백제역사문화권 정립을 위한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후백제는 비교적 짧은 45년 동안 존속하였지만, 백제 계승을 기치로 건국하였고 종국에는 통일국가를 지향하였다. 이처럼 후백제는 뚜렷한 정체성을 갖춘 국가였다. 이뿐만 아니라, 초기에는 호족 연합 정권의 특징을 보였지만 절대왕권 구축과 중앙집권 국가를 지향하는 등 고대국가의 일반적인 발전 양상을 보인다. 고대에 속하며,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발전시킨 후백제의 영역은 시기에 따라 달라졌지만, 현재의 전라도와 충청 일부, 경북 북부지역과 경남 서부지역을 포괄하였다. 이러한 곳에서는 후삼국시기 즉 후백제의 유적과 유물이 확인된다. 후백제 문화의 영향은 후백제 멸망 후에도 이어져 후백제지역에 소위 백제계 불상과 석탑이 만들어졌다. 한편, 후백제는 사회편성의 원리나 종교·사상의 측면에서 변혁기 기존 질서를 극복하고 새로운 질서를 세우고자 한 나라였던 만큼 한국사에서도 조명할 가치가 충분한 국가다. 이러한 후백제역사문화권은 역사문화권정비법이 정하는 기준에 합당할 뿐만 아니라 그 의미와 가치가 크므로, 역사문화권정비법에 하나의 역사문화권으로 지정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후백제역사문화권의 법제화는 당위성이나 합리성만으로 이룰 수 없다. 그래서 후백제 영역에 속했던 시·군이 참여하는 후백제문화권 지방정부협의회의 활동이 중요하다. 협의회 차원에서, 시·군마다 후백제 역사와 문화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후백제를 조명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이 필요하다. 그 가운데서도 후백제가 하나의 독자적인 국가였다는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해서 선도적으로 전주를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서 규정하는 고도로 지정하는 것을 추진해볼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지방정부 차원에서만 이루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바로 후백제 역사문화의 실체를 밝히기 위한 학계의 노력, 가치와 의미를 지역사회에 확산시키기 위한 시민사회단체의 노력 역시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역사문화권정비법 제 · 개정 검토
III. 역사문화권정비법의 시사점
IV. 후백제역사문화권 설정 가능성 검토
V. 후백제 역사문화권 정립을 위한 제언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진정환 Jin, Joung-hwan. 국립익산박물관 학예연구실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