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도입국 학생의 온라인 체육수업 참여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발전 방향 모색

원문정보

Participation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Students Returning to Korea during the School Year and Search for Development Directions

신주미, 김승환, 김민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rticipation in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of students who returned to Korea during the school year who were in online class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o search for directions that the online classes should go forward. For this, seven students who returned to Korea during the school year who are currently completing their academic program in Ko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phenomenonological research methods were us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otal and topical arrangement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proced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12 sub-themes in the four main themes of difficult online classes, paused physical education, upcom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desired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verify the experiences of online classes for students returning to Korea during the school year, and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nline classes and their operation for students in classes alienated from education including students arriving in Korea during the school year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팬데믹 상황 속에서 운영된 온라인 수업을 마주한 중도입국 학생들의 온라인 체육 수업의 참여 모습을 알아보고, 온라인 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 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우리나라에서 학업을 이어가고 있는 중 도입국 학생 7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참여관 찰 및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전사 및 주제별 정리와 귀납 적 범주분석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려운 온라인 수업, 둘째, 쉬 어가는 체육수업, 셋째, 다가오는 체육수업, 넷째, 희망하는 온라인 체육수업의 4개 대 주제와 12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도입국 학생이 겪는 온라인 수 업에 대한 경험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중도입국 학생 등을 포함한 교육 소외계층 등의 교육 수요자들을 위한 온라인 수업 및 운영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며
Ⅱ. 연구방법
1. 현상학적 연구
2. 연구 참여자
3. 자료수집
4. 자료분석
5. 연구의 진실성
Ⅲ. 연구결과: 비판적 성찰
1. 어려운 온라인 수업
2. 쉬어가는 체육수업
3. 다가오는 체육수업
4. 희망하는 온라인 체육수업
Ⅵ. 논의: 발전
1. 온라인 체육수업의 효과
2. 참여 경험을 통해 발견된 문제점
3. 향후 발전방향
Ⅴ. 나가며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주미 Shin, Ju-Mi.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교사
  • 김승환 Kim, Seung-Hwan. 건강한신체활동연구소 소장
  • 김민규 Kim, Min-Kyu.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