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본주의 옹호자’로서의 막스 베버(Max Weber)? - 그 수용의 ‘한국적 기원’에 대한 탐구

원문정보

Max Weber als Verteidiger des Kapitalismus: - Eine Untersuchung seiner Rezeption

이종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der 80er Jahre wurde Max Weber, der in Südkorea als Vater der Modernisierungstheorie vor allem von Seiten der Regierung einseitig instrumentalisiert worden war, von der kritischen Intellektuellen öfter heftig als Verteidiger des südkoreanischen Staatsmonpolkapitalusmus und konservativen Theorie oder als bürgerlichen Soziologe kritisiert. Die Weber-Rezeption in Sükorea war in ihren Anfängen von politischen bzw. ideologischen Konstellation grprägt. Die Südkoreanischen Intellektuellen wurden einerseits durch das koreanischen Unvermögen gegenüber dem moderisierten Japan und andererseits durch den Sieg der westlichen Zivilisation geprägt. Eine nationale Modernisierung schien ihnen daher der einzige Weg zu sein. Die südkoreanische waren davon überzeugt, dass die Modernisierung einer neue Ethik und eines neues Gesellschaftssystems bedürfte, weshalb sie sich in den Werken Webers vor allem für die protestantische Ethik und die moderne Bürokratie interessierten. Vor dem Hintergrund des Koreakrieges und der in dessen Folge extrem ausgebildeten südkoreanischen antikommunistischen Ideologie versuchte man zu dem, in den Werken Webers einen theoretischen Wellenbrecher gegen den historischen Materialismus und Kommunismus zu finden, und so wurden Begriffe Webers für die antikommunistische ideologische Volksbildung instrumentalisiert.

한국어

80년대 마르크스주의는 한국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파헤치며 동시에 이것을 극복할 수 있는 ‘실천적’이며 ‘의로운 처방책’ 그 자체로 각인되었다. 이에 반해 베버는 한국의 비판적 지식인들로부터 소외되었고, 동시에 근대화이론가, 보수이론의 대부 나아가 자본주의 옹호가로 ‘격상’된다. 본 고에서는 이처럼 80년대의 왜곡되어진 베버 상의 기원을 한국 사회학 초창기의 베버수용사에서 제한적으로 추적하려한다.베버의 방대하고도 복잡한 사회학이론은 한국 사회학 초창기에 극히 제한적이고 그리고 부분적으로 소개이해되었다. 이것은 물론 그 당시 갓 태어난 한국사회과학의 학문적 미 성숙도의 탓으로 설명 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당시의 한국에서의 Weber수용의 성격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해방은 되었지만 전쟁을 겪었고, 냉전 상황하의 분단된 당시의 남한사회의 경제적정치적 상황 속에서 한국의 학자들은 Max Weber를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당시의 상황은 남한의 사회과학자들로 하여금 ‘조국근대화’라는 대명제 속에서 Weber의 저작에서 ‘근대화에 대한 척도’와 ‘근대화의 이정표’를 찾는 작업을 해야만 했고, 동시에 분단 상황은 남한의 학자들로 하여금 Weber의 저작에서 ‘공산주의 이론에 대항할 만한 이론적 방파제’를 찾는 작업을 하게 했다. 그래서 베버의 이론은 그의 이론적 다양성과 복합성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근대화 이론의 대부", 혹은 "자본주의 이론의 대변자" 그래서 "공산주의 이론에 대한 이론적 방파제"로서 비쳐지기도 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I. 들어가는 글
 II. 2차대전직 후 일본에서의 베버 수용
 III. 근대화이론의 대부로서의 막스 베버
 IV. 사적 유물론에 대한 이론적 방파제로서의 베버이론
 V. 베버 테제(『프로테스탄트 윤리, 직업으로서의 학문 그리고 직업으로서의 정치』)와 한국의 반공교육
 VI. 맺는 글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저자정보

  • 이종현 Lee, Chong-Hyun.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대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