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베트남 하노이 문묘(文廟) - 국자감(國子監)의 건축물과 현판문(懸板文)에 내재된 중국 유교에 대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f Chinese Confucianism inherent in the architecture and signboard of Van Mieu-Quoc Tu Giam in Hanoi, Vietnam

김현재, 이지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Vietnam has a long history of Confucianism. The influx of Chinese Confucianism into Vietnam began in 111 B.C. when the conquest of Vietnam by the Han Dynasty. Since then, Confucianism has become a state religion since China ruled Vietnam for about 1000 years and throughout the era of the independent Vietnamese dynasty. In the process, each dynasty in Vietnam implemented a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based on Confucianism as its ruling ideology to select officials, and established Van Mieu and Quoc Tu Giam to educate and spread Confucianism to the general public. In this paper, in order to enhance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in Vietnam, we looked at Hanoi's Van Mieu-Quoc Tu Giam which are symbols and essence of Chinese Confucian culture in Vietnam. And the following facts were found through a method of focusing on the meaning of their structural buildings and inscriptions engraved on signboards installed in each building. In terms of function, Hanoi’s Van Mieu and Quoc Tu Giam were established as Confucius' shrine, which founded Confucianism as a ruling ideology. They had been expanded to educational institutions to foster management officials. And they had been even developed into a shrine dedicated to the altar of Chu Van An, a symbol of Vietnamese teacher. In particular, the following facts were learned through the stone stele records of imperial examination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installation here. First, Vietnam's Confucianism aimed to cultivate outstanding talent, which w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country's development. Second, Vietnam's ideal talent was a Confucian scholar who combined talent and virtue. Third, Vietnam's traditional educational ideology was to cultivate loyal Confucian talents. Fourth, the greatest virtues of Confucianism in Vietnam were loyalty and filial piety.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 of Hanoi's Van Mieu-Quoc Tu Giam is that it was created and operated in a combination of education as a major function and ancestral rites for Confucianism as an auxiliary function. This fact can also be seen from the fact that it has the follow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First, it was designed to allow students to devote themselves to their studies in honor of Confucian saints by taking the form of arranging the areas where rituals are held in the front and the areas where education is performed in the back. Second, a total of 91 monuments were installed in the area to honor those who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s for about 300 years.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Confucianism in Vietnam belonged to the ruling power, not to the private sector. This means that Confucianism spread deeply into Vietnamese civil society and had limitations in expanding the base of the Confucian population, and today, it measures the extent and gap of Confucianism's influence as a traditional concept for both Vietnamese and Korean citizens.

한국어

베트남은 장구한 유교 역사를 가진 나라다. 중국 유교의 베트남으로 유입이 기원전 111년 한(漢)나라 무제(武帝)의 베트남 정복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그로부터 유교 는 약 1천 년간 중국이 베트남을 통치한 북속(北屬)시대를 거쳐, 베트남의 독립왕조 시대 에 이르러서는 국교(國敎)로까지 발전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베트남의 각 왕조는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아 중국식 과거제(科擧制)를 시행하면서 관리를 선발하고, 문묘 (文廟)와 국자감(國子監)을 세워 민간계층에까지 유교를 교육, 전파하면서 중앙집권체 제를 강화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전술한 베트남의 유교에 대한 이해 제고 를 위해 베트남 유교문화의 상징이자 정수(精髓)라 할 수 있는 하노이 문묘-국자감을, 그 곳의 구조, 건축물 그리고 각 건축물에 설치된 현판(懸板) 등에 새겨진 글귀 등 현판문의 의미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제시할 수 있었다. 하노이 문묘-국자감은 기능면에서 첫째, 통치이념으로서 유교를 창시한 공자 사당으로 설립됐 고, 둘째, 관리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확대됐으며, 셋째, 베트남의 만세사표 쭈반안 을 종사(從祀)한 사당으로까지 발전했다는 것이다. 특히, 이곳의 가장 중요한 설치물로 손꼽히는 진사제명비의 비문은 첫째, 베트남의 유교가 지향하는 바가 ‘현재국가지원기 (賢才國家之元氣)’였고, 둘째, 베트남의 전통적 인재상이 ‘재(才), 덕(德)을 겸비한 유자 (儒者)’였으며, 셋째, 베트남의 전통적 교육목적이 ‘충성스런 유교적 인재양성’이었고, 넷째, 베트남 유교의 최고 덕목이 ‘충(忠), 효(孝)’였음을 보여준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 하노이 문묘-국자감의 구조적 특징이 강학(講學)의 주기능과 제향(祭享)의 부기능이 결 합한 형태로 이뤄진 것도 알 수 있다. 이는 하노이 문묘-국자감이 제향 영역과 강학 영역 을 앞뒤로 배치하는, 전묘후학(前廟後學)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학생들이 유교 성현들을 기리며 학업에 정진할 수 있는 면학 분위기를 조성한데서 나타난다. 또한 경내에 과거 급 제한 진사를 숭상하고 기리는 진사제명비를 약 300년간 총 91개 설치한데서도 드러난다. 결론적으로 하노이 문묘-국자감에서 문묘는 국자감 학생들의 면학 분위기 조성 등 학업 동기부여를 위한 국자감의 부속기관에 불과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베트남에서 유교는 통치세력의 것이었을 뿐, 민간의 것은 아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유교가 베트 남 민간사회에 깊숙이 전파돼 유교 인구의 저변을 확대하는데 한계가 있었음을 뜻하며, 오늘날 베트남과 한국 양 국민에게 유교가 전통 관념으로서 작용하는 영향의 정도와 그 격차를 가늠하게 한다. 한편, 베트남 여러 왕조의 오랜 과거제 시행은 유교 학습이 권력 층으로 편입, 즉, 출세의 수단이라는 인식을 세간에 뿌리 내리게 함으로써 오늘날 베트남 인들의 학문숭상 풍조와 높은 교육열의 근원이 됐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하노이 문묘-국자감의 구조와 건축물의 의미
Ⅲ. 하노이 문묘-국자감 건축물 현판문의 의미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현재 Kim Hyunjae. 영산대학교 글로벌학부 교수
  • 이지선 Lee Jeesun.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