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mong the realities of aging is the possible loss of mental capacity and resulting legal incompetency. For over 200 years, the societal response to adult mental incapacity has been guardianship, which is the formal appointment of a surrogate decision-maker for an individual who has been adjudicated mentally incapacitated. Until the 1970s, guardianship was perceived as benevolent state paternalism. Throughout the 1970s and 1980s, commentators, spurred by the desire to promote autonomy and dignity among older persons, began to agitate for reforms in guardianship. These critics attacked the basic concept that guardianship was a desirable example of the state acting as parens patriae. Instead, they claimed that a judicial finding of mental incompetency and the imposition of a guardianship was so intrusive and destructive of personal autonomy that fundamental reforms were necessary. Therefore, it is the time that we have to revise the adult guardianship and to enact a new adult guardianship for mental incapacity. Now, we have to ask to ourselves seriously abou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de lege ferenda of Care and Control System. It is as following; We consider firstly esteem of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for adult mental incapacity”, not “ageing”. Secondly, it is the problems on supervising a guardian officially. And finally, it will be the cost of guardianship.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German system and the Japanese system of adult guardianship. It is, I think, that the German system preferentially considered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for adult mental incapacity' but the Japanese system ageing first. The author recommend the German system, because I think esteem of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for adult mental incapacity is prior to ageing in Constitutional Law.
한국어
현행 민법의 행위무능력제도와 법정후견제도가 갖는 문제점의 개선을 위해 고려되는 성년후견제도는 법정후견제도와 임의후견제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1990년에 성립된 독일의 성년후견제도는 1996년에 개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장애에 의해 자기 사무를 돌보지 못하는 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독일 성년후견법은 자기결정의 존중이라는 성년후견제도의 이념에 충실한 제도였으나 전문적 성년후견인을 배출하는 단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지 못한 결과 사법재정에 압박을 받아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96년에 법률상의 성년후견으로 개정되었다. 일본 성년후견법은 극심한 고령화의 진행과 행위무능력제도의 결점을 수정하기 위해 독일법과 영국의 지속적대리권수여법을 모델로 하여 입법되었으며, 따라서 법정후견제도와 임의후견제도의 양자를 모두 갖추고 있다. 양국의 법은 그 출발점이 약간 달라서 제도의 유형도 역시 다를 수 밖에 없음을 인식하고, 각제도의 장·단점을 살펴 본 후에 이를 토대로 입법론을 제시하였다. 간략한 입법론에 지나지 않지만 성년후견제도를 만드는 데에는 반드시 고려해야 할 원칙이나 내용에 관해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입법에는 좀 더 장기적인 목표를 두고 숙고해야 함을 본고에서 거듭 강조하였다. 입법의 편이성만을 좇아 일본법을 선호할 것이 아니라 우리의 현실과 비교하여 어느 제도가 더 이로운가를 살피고, 각각의 장·단점으로부터 취사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성년후견제도의 법비교
1. 독일
2. 일본
III. 법비교를 통한 입법론
1. 입법의 형식
2. 일원론과 다원론
3. 필요성의 원칙과 보충성의 원칙
4. 신상감호
5. 공시의 문제
6. 임의후견제도
IV. 결론-입법론의 숙고를 제안하며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