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간호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Physical Self-Concept on Ego-Resilience in Nursing College Students

조영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physical self-concept on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This data colle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1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166 nursing students at M University in Jeolla Southern Province. For data proces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self-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hysical self-concept(r=.480, p <.001, r=.426, p <.001). The factors affecting the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were psychological safety(β=0.352, p <.001) and physical self-concept (β=0.236, p <.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6%.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sychological safety and physical self-concept in order to increase the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guide programs that enhances psychological stability for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education and facilities so that they can have a healthy body and mind, not only academics.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 다. 본 연구는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전라남도 M대학의 간호대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통해 데이 터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은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 적자기개념에 유의한 양의 상관(r=.480, p <.001, r=.426, p <.001)이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은 심리적 안정감(β=0.352, p <.001), 신체적자기개념(β=0.236, p <.001)이었고, 설명력은 26%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을 높여 줄 필요가 있다. 그 방안으 로는 간호대학생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는 가이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학업만이 아닌 건강한 신체 와 정신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과 시설의 제공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연구 도구
2.4 분석 방법
3. 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심리적 안정감, 신체적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정도
3.3 대상자의 심리적 안정감, 신체적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차이
3.4 대상자의 심리적 안정감, 신체적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관계
3.5 자아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조영미 Cho, Young Mi.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