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게임 스킬 비주얼 이펙트의 의미 분석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Meaning Analysis of Game Skill Visual Effects - focused on world of warcraft -

강윤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ame graphics provide players with a sense of immersion, leading to active participation.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mythological meaning for symbolic design of game skill visual effects that reproduce the narrative and the worldview of games borrowing myths. The research method classified the visual effect image into a symbol of the form of a universal archetype representation and a symbol of color expressing the narrative in the game, and analyzed it by applying Roland Barthes' semiological scheme.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meaning of visual effects as a mythical meaning that can be universally sympathized and an implicit meaning that symbolizes the narrative of the game. The symbolic expression of the visual effect, which reproduces the narrative of the game reflecting the myth, can induce players to engage and participate, and the design direction was intended to provide the visual effect to have a unique symbolism that reflects the game's mythical worldview of the game.

한국어

게임 그래픽은 플레이어들에게 몰입감을 제공하여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낸다. 본 논문은 신화를 모티브로 하는 게임의 서사와 세계관을 재현하고 있는 게임 스킬 비주얼 이펙트의 상징적 디자인을 위한 신화적 의미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은 비주얼 이펙트 이미지를 보편적인 원형의 재현인 형태의 상징과 게임 내의 서사를 표 현하는 색채의 상징으로 분류하고 롤랑 바르트의 의미작용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게임의 서사를 상징하는 함축적 의미와 보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신화적 의미로서 비주얼 이펙트의 의미를 분석할 수 있었다. 신화 가 반영된 게임의 서사를 재현하고 있는 비주얼 이펙트의 상징적 표현은 플레이어들의 몰입과 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 며, 게임 그래픽 제작에 있어 비주얼 이펙트가 게임의 신화적 세계관을 반영하는 고유한 상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디자 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스킬 비주얼이펙트의 의미 분석
2.1 arcane(비전) 계열
2.2 holy (신성) 계열
2.3 shadow(암흑) 계열
2.4 fire (화염) 계열
2.5 nature (자연) 계열
2.6 frost (냉기) 계열
3.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강윤희 Yoon-Hee Kang. 독립연구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