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관광목적지의 자원매력, 오락적 체험, 러브마크, 애착 간의 구조적 관계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 attraction, entertainment experience, love mark and attachment in tourist destination

서경도, 이정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resource attraction, entertainment experience, love mark, and attachment of tourist destinations. A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on each research concept to achieve the proposed research purpose. Based on this,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after deriving a questionnaire based on this, and a non-face-to-face survey was conducted nationwide using population-proportional sampling. The empirical study was confirmed through the statistical programs SPSS25.0 and AMOS25.0. The resource attractiveness of the tourist destination ha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the influence on the tourists' experi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and the love mark had a positive (+) relationship. A positive (+) relationship was also fo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nd attachment.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love mark and attachment did not form a significant relationship.Because it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it is a useful material for local culture and history, so protection, preservation, and active program development are required. is needed.

한국어

본 연구는 관광목적지의 자원매력, 오락적 체험, 러브마크, 애착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시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연구개념에 대해 이론연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도출 후 실증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인구비례표본출로 전국단위로 비대면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25.0과 AMOS25.0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론연구와 실증연구로 나타난 연구결과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관광목적 지의 자원매력은 관광객의 체험간 영향 관계는 정(+)의 관계를 맺고 있었다. 체험과 러브마크와의 영향 관계는 정(+)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체험과 애착 간의 관계에서도 정(+)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러브마크와 애착 간 관계는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지 않고 있었다. 관광목적지의 자원매력, 오락적 체험, 러브마크, 애착 간에 긍정적이며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선 지역적 특성이 그대로 투영된 만큼 지역적 정서, 의미, 그 외 많은 그것이 함께하고 있다. 관광자원으로서 새로운 자원의 관광행동을 위한 목적도 있지만, 지역적 색(色)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지역문화, 역 사 유용한 자료이기에 보호, 보존 및 적극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설문조사의 인구통계적 특성을 기준으로 표본 으로 전국단위로 연구가 되었으나 연차적인 조사로 관광객 특성의 변화가 요구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매력성
2.2 체험
2.3 러브마크
2.4 애착
3. 연구설계
3.1 연구설계
3.2 조작적 정의 및 설문지 구성
3.3 표본조사 및 분석방법
4. 실증연구
4.1 인구통계적인 특징
4.2 측정변수의 신뢰성과 타당성
4.3 상관분석
4.4 가설검증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서경도 Gyeong-Do Seo. 광주대학교 호텔외식조리학과 교수
  • 이정은 Jung-Eun Lee. 예원예술대학교 문화예술관광콘텐츠학과 객원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