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effect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by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on life satisfaction.To this end, the 15th data of the Korean Welfare Panel 2020 were used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The SPSS WIN 25.0 program was used. The survey subjects extracted 684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aged 65 or older, and the use of welfare services was divided into income Service, health Service, home welfare Service, and social participation Service,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using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had a posi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social support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using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se results, the necessity of 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s and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in social welfare polici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increase life satisfaction through various social support was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노인의 사회서비스 이용 여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2020년도 제15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삶의 만족도에 관련된 변인 들의 특성과 상관관계 및 다중 회귀분석등을 검증하기 위해. SPSS WIN 25.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는 65 세 이상 장애 노인 684명을 추출하였으며, 복지서비스 이용 여부는 소득보장 서비스, 건강보장 서비스, 재가복지서비 스, 사회 참여 서비스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노인의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 노인의 복지서비스 이용 여부는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 지지가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장애 노인의 사회서비스의 질적 향상 과 다양한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 정책의 실천적 개입방안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장애 노인
2.2 삶의 만족도
2.3 장애 노인의 사회서비스 이용과 삶의 만족도
2.4 장애 노인의 사회서비스 이용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3. 연구 방법
3.1 연구모형
3.2 분석자료 및 연구 대상
3.3 주요변수
4. 연구 결과
4.1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4.2 주요 변수의 기술 통계량
4.3 주요 변수의 상관관계
4.4 노인가구의 사회서비스 이용 여부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