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노인의 삼킴 단계별 삼킴 기능 평가를 위한 표면 근전도 검사의 융합적 연구 : 체계적 문헌고찰

원문정보

A Convergence Study of Surface Electromyography in Swallowing Stages for Swallowing Function Evaluation in Older Adults : Systematic Review

박선하, 배수영, 김정은, 박혜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ethod of applying sEMG to evaluate the swallowing function of the elderly at each stage of swallowing, and to help objectively measure the swallowing stage of the older adults in clinical practice. From 2011 to 2021, 7 studies that m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selected using Pubmed, Scopus, and Web of Science (Wo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older adults and adul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swallowing phase was analyzed using sEMG only for the older adults. sEMG was used to evaluate swallowing in the oral and pharyngeal stages, and the sEMG attachment site was attached to the swallowing muscle involved in each stage. The collected sEMG data were filtered using a bandpass-filter and a notch-filter, and were analyzed using RMS, amplitude, and maximum spontaneous contraction.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EMG can be used as a tool to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evaluate the swallowing function in stag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activate various studies that incorporate sEMG to evaluate the swallowing function in stag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노인의 삼킴 단계별 삼킴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 검사를 적용한 방법을 분석하여, 임상에서 노인의 삼킴 단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2011 ~ 2021년까지 Pubmed, Scopus, Web of Science (WoS)를 활용하여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7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노인과 성인을 실험군과 대조군 으로 나누어서 분석하거나 노인만을 대상으로 삼킴단계를 표면근전도검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강단계와 인두단계의 삼킴을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표면 근전도 부착 부위는 각 단계별 관여하는 삼킴 근육에 부착하였다. 수집된 근전도 데이터는 대역통과필터와 노치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링되었고, 제곱평균제곱근, 진폭, 최대자발적 수축을 사용하여 분석하 였다. 본 연구에서는 표면 근전도 검사가 단계별 삼킴 기능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단계별 삼킴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 검사를 융합한 다양한 연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문헌 선택 과정
2.2 논문 선정 및 배제기준
2.3 문헌의 질적 수준 및 비뚤림 위험 평가
2.4 결과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문헌의 질적 수준 및 비뚤림 위험 평가 결과
3.2 연구대상자
3.3 삼킴 단계 평가 방법
3.4 표면 근전도 부착 위치
3.5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4. 고찰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선하 Sun-Ha Park.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석사과정
  • 배수영 Suyeong Bae.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박사과정
  • 김정은 Jung-eun Kim.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석사과정
  • 박혜연 Hae-Yean Park. 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 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